아무것도 안 하는 녀석들 문지아이들 163
김려령 지음, 최민호 그림 / 문학과지성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성이네 가족은 백 년만의 한파가 불어닥친 어느 겨울 갑자기 화원으로 쓰던 비닐하우스로 이사를 간다. 처음엔 온 가족이 새 집으로 이사가기 전 임시거처라 생각했기에 캠핑장에 온 것처럼 즐기며 겨울 한 때를 즐긴다.
그런 재미도 잠시, 새 희망의 계절 봄이 왔건만 현성이네 가족은 절망의 늪에 빠진다. 믿었던 삼촌이 형을 상대로 사기를 친 것. 전셋값은 물론 지금 살고 있는 비닐하우스조차 곧 비워줘야 하는 위기에 내몰린다.

장우는 아빠와 함께 살고 있다. 친엄마는 이혼 후 재가해서 새로운 가족을 이뤘다. 아빠 역시 재혼했지만, 아빠가 새엄마 집과 지금의 집을 오가며 지내다 새엄마가 임신하면서 결국 장우가 사는 집으로 들어오게 되고 장우는 웬지 새엄마와 둘이 있는 시간들을 피하고만 싶다.

무료하고 갈 곳 없던 두 아이는 여름방학의 어느 날, 현성이네가 머물고 있는 비닐하우스촌의 또다른 비닐하우스 탐험에 나서고 그들만의 아지트를 구축한다. 거기서 장우의 제안으로 '아무것도 안 하는 녀석들'이라는 제목의 동영상을 찍어 유튜브에 올리게 된다.

아무 것도 하지 않은 아이들. 스스로 아무 선택도 아무 행동도 하지 않았지만 어느 순간 가정의 위기, 어려움, 불안함 가운데 내몰린 아이들. 어른들의 행동과 선택으로 원치않는 상황에 처했지만, 그 어른들에게 의존하기 보다는 그저 담담히 자신의 삶을 살아내는 아이들. 오히려 그 아픔과 상처를 유튜브 컨텐츠로 승화시키는 모습을 보며 안타까우면서도 일면 대견하다.

역시 김려령작가님답게 어른들로부터 보호받아야하며 독립적으로 생각하거나 행동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인식에서 이제는 스스로 선택할 권리를 가지며 마땅히 존중받아야 할 하나의 인격체로서 당당히 서가는 아이들의 모습을 아프지만 담담하게 그려내고 있다.

비록 전체의 60%정도만 담긴 가제본을 읽었지만, 그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기 아이들의 고민과 상처와 아픔을 현실적으로 녹아내고 있어 이후 내용이 더욱 궁금하다.

#아무것도안하는녀석들 #김려령 #문학과지성사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 #청소년소설 #청소년책추천 #완독시급 #완독필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