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티고네 범우문고 267
소포클레스 지음, 황문수 옮김 / 범우사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 안티고네를 좋아하는 근쉬 ◀◀

에테오클레스 – 약속을 어기고 왕권을 넘기지 않음
폴리네이케스 – 약속을 여겨 분을 내고 아르고스로 건너가 테베시를 공격함


둘의 전쟁을 통해 갈등이 극대화되었지만 승패는 나지 않고 지루하게 오래 계속되자 둘의 결투를 통해 전쟁의 승패를 가리자고 함. 둘의 결투는 서로 서로의 목을 찌름으로 동시에 둘이 죽게 되는 결과를 낳음. 그리고 두 도시의 전면적이 시작되었고 폴리네이케스의 아르고스가 지게 되어 퇴각하게 된다. 전쟁의 끝난 전쟁터에는 무수한 시체들만 남게 되고 그 시체 중엔 에테오클레스와 폴리네이케스의 시체도 있다.

테베는 에테오클레스가 죽자 어부지리로 이오카스테의 남동생 크레온이 왕이 된다. 크레온은 시신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에티오클레스만 성대하게 장사를 치러주지만, 테베 입장에서 반역자인 폴리네이케스의 시신은 수습하지 말고 방치하고 포고령을 내린다. 안티고네는 이 배경에서 소설이 시작된다.

안티고네는 크레온의 명령을 어기고 새벽에 오빠의 시신을 수습한다. 제대로 하지도 못하고 그저 흙만 덮어 주었는데 이를 크레온이 알고 노하여 안티고네를 동굴에 가둔다. 음식만 조금 넣어주고 사실상 생매장을 한 셈이다. 안티고네는 동굴 안에서 목을 매어 자살을 한다. 안티고네를 사모했던 크레온의 아들 하이몬은 안티고네의 죽음 소식을 듣고 충격을 받아 칼로 자기 베를 찔러 자살하게 된다. 거기서 죽음은 끝나지 않고 또 다른 죽음이 이어진다. 크레온의 아내이고 하이몬의 어머니인 에우류디케도 침대에서 자살한다. 그리스 비극은 이렇게 처절한 죽음이 난무한다.

2500년 전의 작품인 안티고네는 지금도 계속 공연된다. 왜?

그리스 고전은 선악 구분이 없다. 아이언맨, 트렌스포머 같은 영화는 선악이 명확하다. 재미있게 보지만 남는게 없다. 인생을 살다보면 순도 100% 천사도 없고 100% 악마도 없다. 이것이 뒤 섞여 있는 것이 인간이고 인생이다. 내가 크레온이라면 안티고네라면 어떤 선택을 할까? 이것이 고전을 읽는 포인트가 된다.


▶▶ 내가 크레온이라면?

테베(스)의 왕이라면 테베를 배신하고 적극 아르고스의 왕이 되어 쳐들어온 폴리네이케스를 어떻게 하겠는가? 죽음 이후에 죽음의 가치를 다르게 처리함으로 국가가 유지되는 것이 아닌가! 크레온의 이 생각은 통치자로서 너무 상식적이고 당연한 생각이 아닌가? 적국 그것도 배반자의 시체를 개와 새들이 먹는 것을 국민들이 보고서 반역의 대가가 이렇게 크구나! 이런 판단을 하게끔 하는 것이 통치자의 당연한 귀결이다. 크레온의 의도는 건강하고 부강하며 튼튼한 나라의 기초는 여기서 온다고 본 것이다.


▶▶ 내가 안티고네라면?

두 사람 모두 안티고네의 오빠이다. 정치적으로는 영웅이고 반역자이지만 인간적, 가족적으로 보면 오라비인 것이다. 전쟁 직후의 왕의 명령 앞에 왕명을 어기고 오라비의 시신을 수습하는 안티고네의 모습은 ‘깡’ 그 자체이다.

헤겔은 『정신현상학』이라는 책에서 안티고네는 국가라는 큰 그림을 보지 못하고 오빠라는 사사로운 감정에 얽매여 있는 존재로 이해한다. 크레온은 인간이라는 사사로운 감정에 휩쓸리지 않고 이성과 합리성에 따라 대의를 걷는 존재로 여긴다. 안티고네는 여자, 사사로운 감정, 사법 영역의 존재의 대표이고, 크레온은 남자, 공법을 생각하는 공법 영역의 존재로 본다. 부정적인 면에서의 자연법과 이성적인 법에서는 법을 남녀라는 구도에서 보게 하고, 전체라는 관점에서 남자라는 관점으로 가야한다는 것이 헤겔의 생각인 것이다.

어떤 사람은 크레온은 행위, 결과에 초점을 맞춰 생각했다면 안티고네는 이 사람은 내게 어떤 존재인가 하는 존재의 차원에서 바라봤다. 존재의 차원이라는 것이 사사로운 것이다. 행동, 결과를 가지고 합리적으로 판단하는 그것이 현대의 법 체계가 아닌가! 관계에 의해서 법이 좌우된다면 사회가 어떻게 되겠는가!!

안티고네는 자신의 행동이 신의 원리 즉 신법에 가깝다고 생각하고 있다. 공법 vs 사법의 구도가 아니라 공법 vs 신법의 구도가 나오는 것이다. 신법은 무엇인가? 死者는 장례를 치러야 하데스에게로 갈 수 있었다. 사람이 죽으면 영혼을 인도하는 헤르메스가 지하세계의 경계지점까지 데리고 간다. 그러면 죽은 자들을 실어 나르는 뱃사공 Charon은 아케론 강부터 스틱스 강까지 태워 하데스에게로 갈 수 있다고 믿었다.

다시 안티고네를 넘어와서. 영혼은 누구의 영역으로 가는 것이냐? 인간의 영역이 아니라 신의 영역으로 가는 것이다. 크레온은 어떤 오류를 범하느냐 하면 인간의 법, 왕의 권한으로 자신이 만든 법, 그 이후에 백성을 가르친다는 좋은 명분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그 명분이 상위 법, 즉 신법을 침해하는 결과를 낳는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구도 속에서 보면 크레온이 사법이 되는 것이다. 신의 법을 이해하지 못하고 내려와 있어서 내게 있는 법, 율법일 수 있는 것을 지킬 때 바리새인(지금 종북이라고 말하는 측과 비슷한 논리를 가진 1세기 이스라엘 진영)이 되는 것이다.

이럴 때 안티고네가 이야기 한다. “증오는 제 천성에 맞지 않아요. 오직 사랑만이 제 천성이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