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역사 - History of Writing History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의 역사 그리고 유시민



일단, 이 책이 많이 팔린다고 한다. 근데... 사람들이 이 책을 읽을까? 느낌에 『정의란 무엇인가』와 같은 꼴이 될 것 같다. 읽기 편하지 않다는 말이고, 그리 쉽지도 않다. 다만 유시민 파워 내지는 그래도 책 속에 익숙한 사람들이 나온다는 정도인 것 같은데 아무리 봐도 베스트셀러의 위치에 올라가기엔 쉽지 않아 보인다. 유시민... 딱히 뭐 한 것은 없는 사람인데... 다만 노무현처럼 짠한 느낌을 주고 알쓸신잡에서 좋은 이미지를 대중적으로 심고... 그런데!! 파워가 있다. 물론 그래서 적도 많기도 하지만 말이다. 마냥 부러울 따름이다.

이 책에 대해 비난(?) 최소한 이러쿵저러쿵이 너무 많은 것 같다. 말하기 좋아하는 사람들, 유시민 같은 사람 까면서 결국 자기 자랑하는 것 아닌가 하는 뻔한 비판처럼 보인다. 적어도 근쉬는 역사책을 이렇게 소개하고 역사책에 대한 서평과 소개를 잘 해준 책을 본 적이 없다. 너무 좋은 가이드 북인데... 비평하는 사람 중에서 어느 누구도 이런 가이드를 해줄 생각도, 해본 적도 없으면서 이런저런 요소들을 끄집어 내어 뭐라뭐라 하는 걸 보면... 역시 사촌이 땅을 사는 건 나쁜 일 같다. 강남 집 값이 내려가도 땅을 사지 말아야 겠다. 지인들의 복통방지를 위해.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를 통해서 최초(?)의 역사서 기술 방식에 대한 고전을 소개하고 있다. 둘다 감정적이고 편향적으로 쓰지 않고 공정하게 다뤘다고 강조한다. 사마천의 이야기에서는 자료 수집의 중요성과 그 자료의 접근성에 대한 강조점을 이야기 했다고 봤다. 물론 사마천이 사기를 쓰기까지 겪은 고초에 대해서도 멋있게 표현하기도 했다. 이븐 할둔은 사학을 전공한 친구도 첨 들어본 사람이라 했다. 한국사, 중국사, 서양사 이외에는 배우지 않는 한국 사학교육의 협소함은 우리를 실망시키지 않는다. 암튼 할둔의 역사 서술에서 중요한 점은 과학적 서술이라는 점이다.

랑케는 '전문' 역사학자의 등장으로서 의미를 이야기하고 있다. 학자들을 대상으로 한 저술들이 그것들을 증명하고 있다며 세간의 핵노잼에 대해 비판한 것 같았다. 그 저술에서 강조점은 "확실한 사실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여기에 대해 할 말은 참 많다. 그러나 이 말 자체는 틀린 말도 아니도 틀려서도 안되는 말이다. 한편으론 불가능한 말 이기도 하지만... 이 랑케 밑에서 또 다른 위대한 혁명가가 나오는데 마르크스이다. 역사학자라고 보기엔 어려운 점도 많지만 그의 사상(계급투쟁)에 있는 역사성 때문에 유시민은 이 범주에 넣은 것 같다.




조선에도 역사학자들이 있어서 투키디데스라면, 사마천이라면 썼을 법한 기록들을 박은식, 신채호, 백남운 같은 학자들이 했다고 언급하면서 우리 역사의 재미진 부분을 언급하고 있다. E.H. 카에 대해서 중요한 말을 하고 있다. 역사가는 무언가를 담아야 한다고 말이다. 역사적 사실은 당연한 것이다. 그 사실에 발언권을 주며, 서열과 순서를 결정하는 것이 역사가라고 말한다. 토인비도 그런 맥락에서 사실의 선택, 배열, 표현 그 자체가 창작의 영역에 속하므로 위대한 예술가가 아니고서는 위대한 역사가라고 할 수 없다고 말한다.




마지막으로 다이아몬드와 하라리 이야기를 한다. 이 둘은 독특하다. 지금까지와는 역사를 접근하는 방식이 다르다. 정재승이 "물리학으로 어떻게 사회를 이해하는가?" 라는 강연을 했는데 거기서 인문사회학은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 연구하는데 물리학은 통계 등 정밀한 과학적 방법으로 사회를 읽어 간다고 했다. 총균쇠와 사피엔스, 호모데우스를 통해 기존 역사 방법론이 아닌 방식으로 역사를 읽어내는 패러다임 시프트를 주목했다고 근쉬는 보았다. 지금까지 언급한 모든 역사학자와는 다른 류의 학자였고 지금 우리가 주목해야 한다고 보았다.

근쉬는 이 모든 과정이... 내가 역사를 어떻게 기록할 것인가에 초점이 있다고 본다. 지금 우리는 사마천보다 많은 자료를 가지고 있고, 이븐할둔보다 과학적으로, 기타 모든 사학자들보다 풍성한 자료들과 멀티미디어로 경험하지 못해도 공감각적 시청으로 사건들을 접할 수 있으며, 수많은 댓글들과 개인들의 의견들을 종합해서 어떤 학자도 하지 못했던 역사적 기록을 남길 수 있다. 학자만 그렇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개인도 가능하다고 말하는 듯 했다. 근쉬도 이 글을 읽는 당신도 어느 역사가 못지 않은 역사적 서술을 할 수 있다 아니 써야 한다고 말하는 것 같았다.




2018년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사람들은 역사책에 기록될 엄청난 격변 속에 살고 있다. 유시민은 그 기록을 이 책을 읽는 모든 사람이 써야 한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었을까? 근쉬가 생각해 본 유시민의 숨겨진 의도였으리라 짐작해 본다.


E.H.카에 대해서 중요한 말을 하고 있다. 역사가는 무언가를 담아야 한다고 말이다. 역사적 사실은 당연한 것이다. 그 사실에 발언권을 주며, 서열과 순서를 결정하는 것이 역사가라고 말한다. 토인비도 그런 맥락에서 사실의 선택, 배열, 표현 그 자체가 창작의 영역에 속하므로 위대한 예술가가 아니고서는 위대한 역사가라고 할 수 없다고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