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만나는 스무살 철학 - 혼돈과 불안의 길목을 지나는 20대를 위한 철학 카운슬링
김보일 지음 / 예담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이십대의 끝자락에 서 있다. 스무살과는 너무 많이 멀어진 나이이지만 아직 내 마음과 정신은 스무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일까 '나를 만나는 스무살 철학'이라는 이 책의 제목이 왠지 마음에 와닿았다.

 

작가의 말처럼 젊음의 시기는 성인이라고 힘주어 말하기에는 어딘가 어설픈 때이다. 읽은 것도 짧고, 배운 것도 얇고, 가진 것도 적고, 경험도 충분치 않기 때문이다. 당당하게 자립하기에도 불안정하고, 누군가에게 의존하기에도 쑥쓰러운 때가 바로 이 시기이다. 이 책에서는 이십대의 불안, 선택, 고독, 놀이, 친구, 욕망, 행복, 성공, 사랑에 대해 이야기 한다.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선택'에 대한 이야기였다. 사람은 살아가면서 무수히 많은 선택을 하고, 그에 따른 만족감도 얻을 수 있겠지만 후회와 아쉬움도 갖게 된다. 나는 요즘 나의 선택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는 중이다. 수많은 기회 속에서 내가 선택한 그것이 과연 훌륭한 선택이었을까, 이것 외에 더 좋은 대안은 없었을까에 대해 생각을 하느라 머리가 터질 지경이다. 작가는 선택하고 난 후에 '물론 세상에는 이것보다 더 좋은 것이 있을지 몰라. 하지만 난 이것으로 만족해. 나는 이것을 사랑하고 말 거야.'라고 말하는 것이 상책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런 마음가짐을 갖는 것은 정말 쉽지 않다. 선택장애를 가진 듯 이것도 저것도 선택하지 못하는 나는 다른 사람과 비교하며 마음만 상할 뿐이다.

 

두번째로 인상적이었던 것은 '언러브드'라는 영화의 주인공들을 통하여 이야기하는 행복이었다. '강하게 산다는 것은 남들이 인정하든 말든 자기 스스로에게 만족하는 것'이라는 태도를 보여준 미츠코의 모습은 부러웠다. 다른 사람을 의식하느라 내 마음에 귀기울이지 못하는 용기없는 내 모습과 대조를 이루는 것 같았다.
유명한 소설가 엔도 슈사쿠의 삶의 태도도 인상적이었는데 팔 수술 이후, 의사가 권한 팔 운동 대신 카드 게임을 하면서 팔을 움직였다는 이야기와 지루한 걷기 대신 춤을 통하여 다리를 강하게 단련시켰다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나도 내 일을 즐겁게 할 수 있는 방법을 항상 생각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곧 다가올 삼십대를 떠올리면 이십대보다는 안정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라는 막연한 기대를 가져본다. 알게 모르게 수많은 선택을 해왔고, 그에 따른 결과로 인해 고민을 하고 있는 현재를 넘어서면 나의 삶은 '행복'에 가까워질까? 글쎄, 시간이 흘러간다고 그냥 다가오는 것은 아니겠지?

 

이 책에서 이야기하듯, 나에 대해 생각하고, 나를 만나면서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가는 과정이 필요할 것 같다. 내가 갖지 못한 것을 소유한 다른 사람들로 인하여 불행한 삶을 사는 것 대신 결단력을 가지고 선택하여 행복해지고 싶다. 그래, 지금 행복하자. 인생은 한  번 뿐이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