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서함 110호의 우편물 - 개정판
이도우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을 읽지 않은 사람에게 추천받은 소설, 사서함 110호의 우편물.
제목은 평범한 것 같은데 도대체 어떤 매력으로 소설을 즐기지 않는 사람까지 매료시킨 것일까, 약간의 의구심과 약간의 기대감으로 평소 잘 읽지 않는 한국소설을 손에 들었다.

 

사각사각 연필을 보기좋게 깎아내는 모습. 그것이 이 책의 주인공 공진솔과의 첫 만남이었다. 마음이 심란할 때면 연필을 깎는다는 이 9년차 라디오 작가의 모습은 단정하면서도 조용한, 차분하면서 고집있어 보이는 느낌이다. 개편으로 인해 새로운 PD와 일하게 된 그녀는 낯을 가리는 성격 탓에 부담스러움을 느끼고 있다. 게다가 PD가 시인이라니. 작가로서  글 쓰는 프로듀서와 일해야 한다는 감당할 수 없는 상황에 공진솔은 작게 한 마디 내뱉는다. '젠장'이라고. 이 짧은 한 마디에 쿡쿡 웃음이 나면서 그녀의 모든 감정이 나에게 전해진다. 이 여자, 왠지 나와 닮은 것 같아.

 

진솔은 새로 일을 시작하게 된 이건 PD과의 갑작스런 만남에 뜻하지 않은 편안함을 느끼고, 그의 시집에서 '불'과 같은 열정을 느끼며, 그의 미소에 설레임을 느낀다. 그리고 점차 그에게 물들어 간다. 이들의 모습에 어린 왕자에 나오는 유명한 말이 떠오른다. 길들여진다. 그들은 서로에게 그들도 모르게 길들여지고 있다. 

 

다른 여자를 마음에 담고 있는 남자라는 것을 알면서도 조금씩 자신의 삶의 한 부분을 차지하게 된 그에게 용기있게 사랑을 고백한 진솔은 그가 그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볼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리겠노라 말한다. 그리고 그들은 연인이 된다.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서로에게 마음을 열어가는 두 사람. 그들은 몇 번의 굴곡을 거치고 사랑의 열매를 맺는다.

 

어떻게 보면 뻔한 이야기네, 라고 단정지어 버릴 수 있는 스토리이지만 그 안에 담긴 글들이 잔잔하게 마음을 두드린다. 고요한 수면 위로 작게 튀겨지는 돌멩이들처럼 문장들이 마음을 일렁이게 만들고, 내 주위에 있는 사람들의 일상을 담담하게 다룬 듯 편안하고 다정하게 느껴진다.

 

이 안에 살고있는 사람들의 모습이 나의 삶에 그려진다. 자신의 삶보다 그의 삶을 아껴주는 여자 애리, 고집스럽게 바람을 따라 살지만 결국은 사랑하는 이를 위해 자신의 일부를 내려놓는 남자 선우, 오랜 시간 한 남자를 바라본 여자 희연, 젊은 날의 추억을 고이 간직한 채 시끌벅적 소란스러우면서도 조용하게 삶을 살아가는 이필관 할아버지. 최작가와 김작가, 방송실의 여러 PD들의 모습도 눈앞에 살아나는 듯 하다. 읽을 때는 몰랐는데 생각해보니 작가의 묘사가 무척이나 섬세했나 보다.

 

빨리 읽어내야 한다는 재촉도 하지 않고, 오늘이 지나면 내일이 오듯 자연스럽게 읽게 만드는 책. '참 괜찮은 책이네'라는 생각에 주변에 추천하자 '아, 나 그 책 알아!'라는 대답이 돌아온다. 글귀가 유명하다고, 여기저기 떠돌아다니는 문장을 보았노라고. 맞아, 조용하면서 깊이 있는 글들이 많이 있었지. 다시 책을 펼쳐 인상깊은 글들을 추려내어 본다.

 

살아가는 게 늘 장밋빛은 아니지만, 장미빛이라 부를 수는 있어요. 오드리 헵번이 그랬던가요? 와인 잔을 눈앞에 대고 세상을 바라보라! 그게 바로, 장미빛 인생이다-라고요. (p. 80)

 

진솔씨는, 나한테 일기장 같은 사람이에요. 수첩에 몇 줄 적는 것처럼 꼭 진솔 씨한테 하루를 정리하게 되잖아요. (p. 155)

 

네 사랑이 무사하기를. 내 사랑도 무사하니까. (p. 206)

 

나 사랑하는 게 정말 힘들면...사랑하지 말아요. 내가 당신한테 아무 위로도 못 됐다는 거 아니까. 도망가지만 말아요, 내 인생에서. (p. 377)

 

작가의 말에서 밝혔듯, 이 책에는 서울 땅이 또 다른 주인공으로 나온다. 마포, 종로, 혜화동, 신촌, 인사동, 광화문. 즐겨가지는 않지만 북적거리는 사람들이 그리울 때 찾아가는 곳. 이곳들의 모습을 이 책에서 다시금 발견하게 된 것 같다. 이필관 할아버지의 주소, 이화동 산 1-1번지도 찾아가 보고 싶다.

 

책을 덮은지 시간이 꽤 지났는데 아직도 가슴 한켠이 아리다. 해피엔딩으로 끝난 소설인데 왜 이렇게 마음이 차분해지는 것일까? 주인공들이 겪었을 가슴앓이를 나도 함께 했나 보다.
지금 나는, 네 명의 주인공보다  이필관 할아버지가 많이 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