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병주 교수의 조선 산책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라고하면 일전에는 각종 시험을 위한 하나의 관문으로만 여겨서 역사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이나 과정 등은 등한시한채 목적을 위한 역사공부로만 치부했었다. 하지만 그래도 이러한 시험용으로 준비한 역사공부가 역사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요즘과 같이 역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관심이 자리잡고 있는 상황에서 그동안의 부족한 역사지식에 하나하나 다시 살을 채워나갈 수 있도록 주춧돌이 되어준 것만은 사실이다. 

 

이번 새로운 역사신간인 신병주 교수의 조선 산책은 처음에는 단순히 제목만 보았을 때에는 그냥 조선시대의 풍경이나 시대흐름 정도로만 서술한 역사책으로만 여겼었다... 그런데 그 안을 들여다보고 속을 파헤치다보니 500년 조선역사의 흥미진진한 스토리가 생생하고 다양한 사진들과 조화롭게 배치되어서 흥미 그 이상의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아닌가? 솔직히 기대 이상이었다. ㅎㅎㅎ 

 

조선 구석구석을 그냥 산책하듯 500년 조선 역사를 책 한권에 고스란히 담아내려고 노력한 흔적이 곳곳에서 보여서 그런지 오랜만에 값진 역사보물 한 권을 선사받은 느낌이다.  책속을 잠깐 들여다보면 근래에 영화로도 제작되었던 남한산성에서의 45일간의 척화파와 주화파의 대립과 갈등에서부터, 전분6등법과 연분9등법 등의 공법 시행에 앞서 최초로 국민투표를 실시한 세종, 세조 때 편찬을 시작하여 성종 때 완성되어 시행된 경국대전 속 지역별 인재할당, 당의 시시비비를 가리는 영조의 탕평책을 시작으로 영조의 손자인 정조의 신분 제약을 완화한 인재등용, 조선시대 세제 개혁인 광해군의 대동법과 영조의 균역법 등 역사 그대로의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듣는 듯한 느낌이 들 정도로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다.

 

역사는 역사 바로알기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역사를 바로 알아야 역사 속 과오를 다시 되새김질 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의 국정 초유의 사태인 대통령 탄핵만 보아도 그렇다. 과거 연산군을 폐위한 중종반정과 광해군을 폐위한 인조반정에서의 민중과의 소통 부재와 소수 측근의 정치 폐해, 권력 독점은 이번 대통령 탄핵 사건과도 너무 소름끼칠 정도로 비슷하다. 이러한 점만 보아도 역사란 단순히 스쳐지나간 과거의 산물이 아니라 앞으로의 삶을 다시 돌이켜 볼 수있는 나침반과도 같은 역할을 해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역사란 역사가와 사실 사이의 부단한 상호 작용의 과정이며,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이다라고 한 20세기 역사학자 카(Carr)의 말처럼 역사는 단순히 지나가버린 과거가 아닌 앞으로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서 되새겨보고 되짚어보아야 할 산증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우리 역사 바로알기를 시작으로 역사의 과오를 다시는 되새기지 않는 노력이 필요하지 않나 이책을 읽으면서 생각해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