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공식, 최대한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누구나 교양 시리즈 8
슈테판 클라인 지음, 김영옥 옮김 / 이화북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의 공식 하루준 평점 : ★★★★ (8/10)

​하루준 코멘트 : 우리가 놓치고 있던 행복의 비밀이 이 책안에 있다!!

도서정보

제목 : 행복의 공식, 최대한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저자 : 슈테판 클라인

장르 : 교양심리

페이지 : 414

출판사 : 이화북스

출판일 : 2020. 7. 27.

​​

책을 읽고 느낀 점​



인간은 누구나 행복을 꿈꾼다. 하지만 어떻게 하면 행복을 얻을 수 있는지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나 역시도 행복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아는바가 없다. 어떻게 하면 행복할 수 있을까?

그렇기에 이 책 '행복의 공식, 최대한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는 제목부터 나의 관심을 끌었다. 행복해질 수 있는 방법을 쉽게 설명해준다니 이아니 좋을손가!

이 책은 행복에 대한 다양한 영역의 실험들을 총망라하며 어떻게 하면 행복해 질 수 있는지 설명한다. 뇌 과학, 철학, 심리학, 물리학, 생물학, 사회학, 문학에 이르기까지 행복을 위해서는 다양한 경계를 넘나들며 행복의 필수조건들을 나열한다. 그러면서 행복에도 공식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물론 그 공식은 모두에게 동일한 조건으로 적용되진 않는다. 사람에 따라서 필요한 조건들의 편차는 존재한다.






총 4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이 책은 1부 '행복을 준비하다', 2부 '행복이라는 오래된 기억', 3부 '평생 지속될 행복을 찾아 떠나는 여행', 4부 '행복한 사회'를 통해서 우리가 행복으로 이르는 공식을 최대한 쉽게 설명하고 있다(물론 저자가 최대한 쉽게 설명한다고 했지 내용 자체가 쉽다고는 하지 않았다. 특히 뇌과학 부분은 내겐 조금 어려웠다. 물론 행복함을 그렇게 쉽게 얻을려는 것 자체가 욕심이지 않을까?^^)

저자는 행복의 공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자기 자신이 누구인가를 아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일상적으로 마주치는 자극들에 자신이 어떤 방식으로 반응을 보이는지 자신을 잘 관찰하기만 하면 된다. 그리고 자신에게 좋은 영향을 끼치는 반응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그러한 반응이 발생하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곧 행복의 공식이라고 설명한다. 그리고 행복은 배울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한다. 지금 행복하지 않다면, 아니 더 행복해지고 싶다면 이 책을 통해 나만의 행복의 공식을 찾아보는 것은 어떨까?!

마음에 와닿았던 문장들



P. 98

불쾌한 감정을 절제하는 대신 화를 폭발시켜 화를 해결 하는 방식은 타오르는 불에 기름을 붓는것과 같다. 이제 당신은 미래에 더 자주 불쾌한 감정의 노예가 될 것이다.

P. 158

인간을 기분 좋게 만드는 일이 얼마나 쉬운지 그리고 행복과 지성이 대립물이 아니라 오히려 그 반대라는 사실 말이다. 이러한 인식에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수업 시간에 즐거울 수 있고 웃을 수 있는 학생은 좀 더 쉽게 배울 것이며, 자신의 일에서 기쁨을 얻는 회사원은 좀 더 생산적일 수있다.

P. 278

삶을 살아가는 용기는 실제 상황보다 우리가 그 상황을 어떻게 평가하는가에 더 좌지우지된다.

P. 311

"그저 행복하기만을 원한다면 그것은 그렇게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보다 더 행복하길 원한다면 그것은 언제나 어려운 문제가 된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을 있는 그대로보다 더행복한 상태로 상상하기 때문이다." 철학자 몽테뉴는 이렇게 쓰고 있다.

P. 345

선진국들에서 삶의 수준은 결코 삶에 대한 심리적 만족도와 비례하지 않는다. 경제적 안정과 심리적 만족은 연관성이 크지 않다.

P. 353

사람들이 불행을 느끼는 것은 무엇인가를 소유하지 못해서가 아니라 상대적으로 다른 사람들보다 적게 소유하고 그로 인해 자신이 가치 없다는 생각을 하기 때문이다.

보고, 깨달은 것 적용하기



:: 본 것 : 행복으로 이르는 공식!

:: 깨달은 것 : 결국 행복은 나 자신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내가 누구인지? 무엇을 좋아하는지?!

:: 적용할 것 : 내가 좋아하고 행복을 느끼는 순간이 언제인지 가만히 곱씹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