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돈 공부 - 나를 잃고 싶지 않아 처음 시작한
이지영 지음 / 다산3.0 / 2016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부자부모.

부자남편.

로또당첨.​

부자가 되는 길에 있는 세가지는 저자의 말처럼 쉽게 되는 것도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요즘 안그래도 금수저, 은수저니 해서 말이 많은데 내가 부모된 입장에서 아이들에게 금수저가 아닌 흙수저를 물려준 기분이 들어 우울한 마음도 들었던 적이 있다.

나도 저자처럼 부유하게 자라지도 못했고, 부자 남편과 결혼하지 못했으며 로또 또한 사본적이 없다.

그래서 우리 아이들에겐 최선을 다해 뒷바라지 해주고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그녀는 엄마이기에 우리 가족을 위한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해 쉴 새 없이 달려왔다고 한다.

​분명 재테크 책인데 엄마라는 것, 그리고 워킹맘으로 살아온 부분이 같은 공감대를 형성하며 참 뭉클하게 시작되는 책이다.

​금수저가 아닌 우리는 다윗과 같으며 하루하루 열심히 죽어라 일해봐야 잘 살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수입을 모조리 저축하고 절대 빚을 지지 않으려는 사람들이 그들과 정반대인 사람들, 즉 타인의 시간과 돈을 레버리지로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뒤쳐지게 마련이다.

나는 지금 다윗인데 혼자 몸뚱이로 골리앗을 이기겠다고 발버둥 치는 건 아닌지 생각해 보란말에 정신이 번쩍 든다.

우리는 지금 열심히 일만 해서는 충분하지 못한 사회에 살고 있기 때문이리라.​

 

 

 

나만의 why만들기, 꼭 돈 공부, 돈 이야기가 아니더라도 이건 필요한 것 같다.

<why>가 생길때마다 그것을 업데이트 해나가는 것, 그러다보면 <who>는 자연스럽게 따라온단다.

예전에도 느꼈지만 저자의 목돈 만들기를 읽으며 참, 알뜰하게 살았구나, 남의 눈 의식하지 않고 주관있게 살았구나 싶었다.

다들 결혼할 때는 스드메는 최고로 요즘 전자제품보니 비싸도 보통 비싼게 아니다. 그런데 신혼을 중고 가구와 전자기기로 살았고 주중은 물론 주말까지 일했다고 했을 때는 부자는 역시 괜히 되는게 아니다 싶다.

여성들의 소비습관이 감정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 공감하는 부분이다.

미안해서, 속상해서, 또 스트레스 받아서, 또는 기뻐서 돈을 쓰는 식이다.

나 또한 예외는 아니다 싶다.

매번 반성을 해서 한두달은 절약정신으로 가지만 그렇다고 형편이 나아지지 않기 때문에 금방 이래도 한세상 저래도 한세상인데 뭐 일단 쓰자, 이렇게 되어 버리곤 하는 것이다. 오히려 자제했던 기간을 보상이나 하듯 더 써버리는 경우도 다반사이다.

냉장고파먹기와 통장관리를 비유한 것도 유익하게 읽은 부분이다.

​아이들을 위한 경제교육, 따로 경제교육을 시키려고 한 적은 없지만 내 주관은 그렇다.

뭐든 지들이 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 비싼 것을 살때는 이유가 있어야 하고 때론 본인의 용돈으로 보탤줄도 알아야 한다는 것.

난 아이들이 많이 컸지만 저자의 아이들은 어린데도 엄마를 많이 닮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재테크보다 어떤 삶을 살고 싶은지가 먼저라는 이야기.

가난을 벗어나기 위한 길은 종자돈이 아니라 돈 공부가 먼저라는 것.

남자보다는 여자가 투자에 유리하며 여자보다는 엄마가 더 유리하다는 것.

아이, 남편 보다는 나를 위한 투자, 건강해지려는 노력이 더욱 절실히 필요함을 느끼게 된다.

​저자의 성공담이나 어떻게 해야 돈을 많이 벌 수 있다는 방법보다는 우리 여자들의 마음을 함께 공감하고 용기를 가질 수 있게 해주는 책이다. 엄마의 돈 공부, 오늘부터 시작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