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략의 한비 지혜의 노자 - <한비자>로 나를 세우고 <도덕경>으로 세상을 깨치다
상화 지음, 고예지 옮김 / 생각정거장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러모로 세상이 어수선하긴 한가보다.

요즘들어 고전이 더욱 빛을 발하고 있으니 말이다.

​세월이 흘러도 고전은 흔들림이 없으며 오히려 더 많은 교훈을 얻게 된다.

너무 오래전에 읽어 기억도 가물가물, 그래서 한비와 노자를 다시 읽어보기로 했다.

한비는 춘추전구시대말 한나라 귀족 출신으로 한나라가 점차 몰락의 길로 접어들어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에 왕에체 여러 개선책을 제시했지만 왕은 이를 수용하지 않아서 은거해 저술에만 전념하게 된다.

​노자는 고대의 위대한 사상가로 그의 저서 <도덕경>은 중국 고대 철학 사상의 새로운 물꼬를 텄고 현대인들에게 대인 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하는 법, 스스로 마음을 다스리는 법을 알려주고 행동의 방향을 결정하는 지혜를 빌려 준다.

<한비자>와 <도덕경>은 풍부한 철학 사상과 인생의 지혜를 담고 있다.

​난세에 영웅이 난다고 했다. 한비가 살았던 시대는 정말 난세의 시대였다. 수많은 나라가 세워지고 멸망했다. 그리고 수많은 나라만큼 군주가 나라와 함께 운명을 같이 했던 시대다.

그리고 온갖 사상이 범람하던 시대이기도 하다. 한비는 법. 술. 세는 천하 통일이라는 시대적 세대에 가장 자 어울리는 것이었다.​

<한비자>는 군주에게 올리는 편지글이다. 한비는 이 글에서 현명한 군주가 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했다는데 군주론이 생각나기도 한다.

"군주는 속내가 깊고 자신의 속마음을 겉으로 표현하지 않아 신하가 그 생각을 짐작할 수 없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 비로소 신하의 참모습을 확실히 볼 수 있다. 사전준비를 해두지 않고 속내를 겉으로 드러낸다면 그 일은 완벽하지 않은 상태에서 더 큰 장애에 부딪히게 된다. 이렇게 된다면 실패는 당연지사가 아닌가?"

이래서 오늘날 군주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며 한비의 사상이 회자되고 있는 것 같다.

지혜의 노자. 우린 흔히 이렇게 알고 있다.

​노자는 사회으 대격변기를 겪으면서 변화무쌍한 세상사에 대해 깊이 깨달음을 얻었다. 그래서 자신을 다스리는 법, 세상을 살아가는 철학,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와 같은 지혜를 완성했다고 한다.

천하를 다스리는 방법으로 자애로움, 검소함, 남보다 앞서지 않음을 제시했다고 하는데 통치자가 백성을 아끼고 잘 보살피는 것, 백성이 자신의 욕망을 절제하며 살아가는 것 그리고 겸손하게 자신을 낮추어 다툼을 피하고 자연에 순으하며 인위적으로 하지 않는 것이라는데 오늘날의 우리의 통치자를 생각하게 되는건 왜 인지 모르겠다.

오래전에 읽었을 때는 이해 못하는 부분이 많았던 것 같은데 다시 읽으니 한비와 노자의 지혜​을 엿볼 수 있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