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에 혼자 읽는 주역인문학 : 깨달음의 실천 편 - 세상에서 가장 쉬운 주역 공부 새벽에 혼자 읽는 주역인문학
김승호 지음 / 다산북스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초운 김승호 선생의 주역인문학, 그 두 번째 이야기 깨달음의 실천편이다.

사실 주역 알아서 뭐하나 싶어 관심 없었는데 지인이 주역 공부를 하는데 그렇게 재밌다고 해서 궁금했다.

나이를 조금씩 먹어가니 세상을 보는 이치가 조금 달라졌다고 할까.

주역은 어렵다는데 과연 내가 이 책을 읽어낼까 싶은 마음도 있었지만 도전해 보기로 했다.

이전에 <새벽에 혼자 읽는 주역인문학>이 첫 책이라는데 이 책을 먼저 읽었어야 하나 싶었는데 저자의 어렵지 않다는 말을 믿어보기로 했다.

주역은 어려운 학문이 아니라고 한다. ​음과 양을 이야기하니 우리 일반인은 어렵다고 생각할 수 밖에 없지 않나 싶다.

초반 음양이나 자연의 작용 등 다양한 부분에서 주역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기초를 알 수 있는 부분이라 잘 읽을 필요가 있다.

​주역인문학, 두 번째 이야기 깨달음의 실천편은 주역의 언어에 해당하는 쾌상을 이야기한다.

​주역은 궁극적으로 대성쾌 64개의 뜻을 완벽하게 파악하는 데 있다. 그래서 대성괘를 하나씩 정복해나가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냥 줄 그은 것 같은 이 쾌상이 많은 의미가 있다고 하니 하나하나 차근차근 공부해야 할 것 같다.

우주는 예정으로 가득 차 있다. 어떤 것은 강하게, 또 어떤 것은 약하게 예정되어 있을 것이다. 바로 앞날이나 먼 미래에 예정되어 있는 것도 있을 것이다. 어찌되었건 예정이란 우주의 운행상 절대적 섭리이고 이는 만물의 작용이 시간 속에 일어나기 때문이다.

미래를 알 수 있다면 좋으련만. 이건 우리 인류의 염원일 뿐일까.

호킹박사는 '자연은 미래를 아는 것을 금지시키는 것 같다'고까지 하면서 미래 예측이 불가능함을 주장했다는데. 그러나 문명의 발달로 미래를 조금은 알 수 있게 되지 않았나 싶다.

미래는 믿을 수가 없다. 미래란 오면 그대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지 실망의 대상이 아니다. 미래가 내 생각대로 되어야 하 이유도 없고 예측은 자유지만 그 예측을 믿어서는 안된다.

미래가 현실로 나타나면 아, 이게 미래구나. 어제는 궁금했는데......' 이렇게 생각하면 된다.

이 말이 정말 남는 문구이다.

조금 어렵게 읽어서 이해가 안가는 부분도 없는 것은 아니지만 좀 더 심도 있게 다시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