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화 - 1940, 세 소녀 이야기
권비영 지음 / 북폴리오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40. 세 소녀 이야기.

1940년은 우리나라의 일제강점기때다.

아픈 역사에 소녀들의 이야기라면 가슴 아플 이야기가 뻔하다 싶어 몇 번을 읽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을 했다.

책을 읽게 만든 건 표지의 '부모도 나라도 없던 환란의 시절, 그래도 희망을 꿈꾸던 세 소녀가 있었다.'라는 문구였다.

뭔가 희망이 있다는 건 아픔만 있다는 것은 아닐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안그래도 요즘 위안부 문제는 예민하다.

얼마전 관련 영화도 개봉을 했지만 난 보지 못했다. 화가 나고 가슴이 먹먹해서 보기 힘들어 포기했다.

우리딸은 그 영화를 보고 온날 ​눈이 퉁퉁 부어서 왔다.

난 이제 우리딸들과 비슷한 아이들이 겪었으 위안부라는 것이 ​화가나서 참지 못한다. 속상하다.

​<몽화>는 <덕혜옹주>의 작가 권비영이 쓴 일제강점기시대 소녀들의 이야기이다.

​당연히 위안부와 관련된 이야기지만 세 소년 전부가 위안부는 아니다.

주인공인 세 소녀는 환경과 처지가 참 다르다. 부잣집으로 남부러울 것 없는 정인, 기생집에 어쩌다 살게 된 은화. 그리고 역시 이모집에 얹혀 살게 된 가난한 집 소녀 영실.

영실이 아버지가 사고를 치고 도망가서 어머니는 아버지를 찾기 위해 영실을 이모집에 맡기게 된다.

영실의 이모집 근처에 사는 소녀들이 바로 정인과, 은화이다.

정인이 부잣집인 것은 아버지가 일본의 앞잡이 노릇을 하기 때문이다. 또래의 아이들과 같은 처지가 아닌 기생집에 사는 은화도 그렇다.

처한 환경과 처지는 다르지만 또래 소녀들이기에 금새 친해지는 이 세 소녀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날까.

당시 남자는 강제징용을 여자는 위안부로 잡혀​가던 시절이다.

그리고 이 세 소녀의 주변인물들도 다양하게 나오는데 다 연관이 있고 그 시대의 처한 환경을 자세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그래도 빽있는 아버지 덕분에 정인의 처지는 딱하지 않다.

은화도 차라리 기생집을 나오지 않았다면 달라졌을까?

영실도 엄마를 찾았다면 아니 아버지를 만나지 않았다면 달라졌을까?​

당차고 똑똑한 영실에게서, 그리고 어떻게든 살겠다는 일념하에 의지를 불태운 은화도 지금은 어디선가 잘 살고 있을 것만 같다.

그렇지만 가슴 저리도록 아프다. 그녀들을 안아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