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의 통찰 - 위대한 석학 21인이 말하는 우주의 기원과 미래, 그리고 남겨진 난제들 베스트 오브 엣지 시리즈 4
앨런 구스 외 지음, 존 브록만 엮음, 이명현 감수, 김성훈 옮김 / 와이즈베리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베스트오브 엣지시리즈 4번째 <우주의 통찰>이 나왔다.

이번엔 우주에 관한 개념들에 맞춰진 이야기로 우주는 물리학, 천문학, 과학철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는 매력이 있다.

이전에 <컬쳐 쇼크>와 <생각의 해부>등을 통헤 엣지시리즈를 접했던 나는 조금 어렵긴 하지만 이번 우주의 통찰을 읽어보고 싶었다. ​

​베스트오브 엣지시리즈, 다른 사람들이 평생을 바쳐 연구해온 것들은 독서로 접할 수 있다는 것은 지식을 넘어 마음까지 풍요롭게 하는 것 이 아니던가.

세계의 석학들의 생각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기회로서 ​엣지 재단에 고마운 마음이 든다.

엣지 재단은 오늘날 세상을 움직이는 석학들이 한데 모여 자유롭게 학문적 성과와 견해를 나누고 지적 탐색을 벌이는 비공식 모임으로 1996년 존 브록만에 의해 만들어졌다.

​우주는 여전히 우리에게 미지의 세계고 동경의 대상이다. 최근 영화 <마션>을 보면서도 진짜로 곧 우주로 나아갈 수 있지 않을까 상상을 해보곤 했다. 우주과학이 어디까지 발전할지는 흔히 생각하는 그 이상이 될 것 같다.

책은 우주에 대해 순환우주론, 브레인이론, 구성자​이론 등 우리 일반인들이 알기엔 어렵다. 다만 내가 접근할 수 있는 것은 우주의 생성과 소멸, 그리고 우리 지구에 대한 것들만 알아도 충분하다는 것이다.

책은 급팽창이론을 개척한 앨런구스의 [우주론의 황금시대]부터 시작하는데 ​우주론은 그저 여러 가지 추측을 모아놓은 학문에 불과했으니 요즘에는 이론을 발전시키고, 정확한 관찰을 바탕으로 그 이론을 실험해볼 수 있는 진정한 자연과학의 한 분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우주는 왜 지금의 모습이 되었을까? 뻔하 질문이지만 다른 우주를 볼 수도 알 수도 없기에 흥미로운 질문이 아닐까?​

지금은 우주론학자들의 호시절이라고 이야기하는데 수십 년 간 씨름했던 지문 중 일부가 주목받게 되고 우주의 주요성분이 무엇인지 말할 수 있게 되었단다.

우주는 4%원자, 25%암흑물질, 그리고 빈 공간에 잠재되어 있는 신비로운 71%의 암흑에너지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우리 지구만이 생명의 진화에 알맞은 조건을 가진 행성이라고 했는데 수없이 많은 행성들중 언젠간 나타날 지 모른다는 생각도 해본다.

​나는 과학을 잘 알지 못한다. 그래서 과학관련 도서는 많이 접해 보지 못하다가 이과 전공하는 딸아이 덕분에 다양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책을 접해 볼 수 있었다.

사실 초끈이론이나 힉스입자 등도 책을 보면서 이해하지 못했던 것을 아이가 조금 더 부연설며을 해주어야 이해할 수 있던 것들이었다.

<우주의 통찰>을 이해하기란 어렵지만 우주과학 분야에 대해 알고 싶어하는 마음만 있다면 충분히 읽어볼 수 있는 책이다.

베스트오브 엣지시리즈가 ​세계 최고의 석학들이 전해주는 최고의 지식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