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2016 -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의 2016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5년 어느덧 마지막을 달리고 있다. 과연 병신년 2016년은 어떤 해가 될지 기대반, 걱정반이 모든이의 마음이 아닐까.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16 전망 바로 <트렌드 코리아 2016>이다.

매년 챙겨보게 되는 책이 트렌드 코리아인데 아무래도 올해 어떤 것이 트렌드였는지 새해엔 또 어떤 전망이 나오는지 궁금하기 때문이다.

앞부분엔 올해 2015년 소비 트렌드가 회고되었고 뒷부분엔 2016년 소비 트렌드 전망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올 한해를 책을 보며 정리하니 2015년 내가 어떻게 살았는지도 생각나게 한다.

​트렌드 코리아 선정 2015년 10대 트렌드 상품을 보니 정말 인기를 실감했던 것들이 넘쳐나는데,

개인적으로 정말 다 풀려서야 먹어보게 된 허니버터칩. 그 후로도 뭐든 허니가 들어가는 제품들이 줄줄이 나왔고, 단맛나는 과일소주들도 열풍이었다. 스트레스엔 매운맛이라 했던 것 같은데 단맛은 그닥 오랜 인기를 끓진 못한 것 같다.

먹방이 인기였던 기존에서 올해는 쿡방이 대세였다. 어렵고 힘든 요리 말고 집밥같은 요리랄까

주변에서 보면 정만 너도나도 따라할 정도로 엄청난 인기였으니까.

나는 편의점 상품을 잘 모른다. 그런데 우리애들은 편의점 상품을 잘도 알고 사온다. 1인 시대에 맞게 편의점표 요리가 대세인 한해이기도 하다.

올해 아줌마들 모임에 정말 제일 많이 간 곳, 한식부페,

올해 초 처음 생겼을 때만 해도 예약도 어렵고 대기시간도 엄청났던 것이 생각난다. 정말 북적대던 곳에서 밥을 먹었던 기억인데 이젠 점포수와 브랜드가 늘어서인지 그정도는 아니고도 식사가 가능하다.

햄릿증후군, 정보화 시대에 살다보니 쉽사리 결정을 못 내리는 결정장애라는 것이 생겼다. 햄릿처럼 결정장애증후군을 앓고 있는 것이다.

셰프테이너, 요남자, 요섹남 등등 올해 핫한 쿡방시대에 나온 신조어이다. 요리프로그램에 푹 빠진 감각의 향연의 시대였다.

​2016년 병신년, 붉은 원숭이의 해라고 하는데 원숭이처럼 능숙하고 재빠르게 경기침체의 늪을 넘어서면 좋겠다.

트렌드 코리아에서 2016년 키워드 슬로건을 멍키바라고 했다는데 2016년 대한민국을 둘러싼 정치 경제 사회적위기의 깊을 골을 원숭이가 구름다리를 넘듯 신속하고 현명하게 무사히 건너 2017년에 도달하고자 하는 소망을 담은 키워드란다.

전세계적으로 침체이고 우리나라도 IFM보다 더 힘들다는 시기를 보내고 있는데 희망이 보이면 좋겠다는 마음 나 또한 간절하다.

물론 2016년 전망이 밝은 것은 아니다.

​저성장, 취업난, 고용불안, 양극화 등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들이 더욱 악화되는 가운데 스트레스를 받지만 여전히 우리는 풍요시대의 소비를 통해 행복을 추구한다.

플랜 A가 최선, 플랜 B가 차선이라면 플랜 Z는 최후의 보루라 한다.

플랜 Z 소비는 무조건 아끼는 것이 아니라 나름의 수입속에서 적게 쓰고 크게 만족하는 소비를 말한다.

더 똑똑한 소비는 무엇인지 느끼게 한다.

힘들다지만 작은 것에 행복을 느낄 수 있는 해이기를 바라며 내년에 다시 트렌드 코리아를 읽으며 그래, 그랬지 웃으며 다음년을 기약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