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에 관한 쓸 만한 이론
스콧 허친스 지음, 김지원 옮김 / 북폴리오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사랑에 관한 달콤한 러브스토리를 생각했다가 아버지의 기억을 가진 로봇에게서 사랑을 배우다란 부제에 돌아가신 아버지 생각이 간절해지고 콧등이 시큰해진다. 주인공 닐처럼 상처 가득한 아버지지만 요즘에 부쩍 그리운 것은 나이듦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컴퓨터 공학이 날로 발전해가기는 하지만 아직은 사람의 감정까지 비슷한 로봇은 보지 못했다. 미래 사회는 로봇이 어디까지 발전할까 생각해 보기도 하지만 요즘처럼 외로움, 치유되지 않은 상처를 가진 사람이 많아진다면 로봇과 교감도 가능하지 싶다. 결국 로봇도 사람이 만드는 것이지만 말이다.

 

삼십 대의 이혼남, 돌아가신 아버지의 5천 페이지 분량이 되는 이십 년 치의 방대한 일기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컴퓨터를 만든는 일을 한다. 아버지의 평소 느끼고 생활하던 모습을 그대로 입력해 만든 닥터바셋은 처음엔 딱딱한 컴퓨터였는지 몰라도 시간이 흐를수록 돌아가신 아버지같은 느낌에 혼란하기만 하다.

자살한 아버지를 원망하고 불신하며 이혼으로 인해 사랑에 대해 숨으려고만 하는 주인공 닐이 시간이 흐르고 컴퓨터가 정교해질수록 아버지같이 느껴지는 닥터바셋과 많은 대화를 나누며 아버지를 조금씩 이해하고 상처를 치유해가게 된다.

닐 자신의 출생에 대한 이야기, 어머니와의 사랑이야기, 권총으로 자살하게 된 이야기등 닐이 몰랐던 여러 사실들을 하나씩 알게 되며 무거운 마음의 짐을 하나씩 내려 놓게 된다.

 

닐은 아버지의 자살과 본인의 이혼으로 인해 서른여섯 살에 독신인 지금 오히려 더 엄격하게 살고 있다. 다른 누군가와 친밀한 관계 형성이 어려운 그는 가벼운 만남을 위해 유스호스텔에 가게 되고 그곳에서 레이첼을 만나게 된다. 그러나 닐은 사랑이라는 것을 피하게 되고 마음을 잡지 못한다.

 

제목만 보면 사랑에 관한 무슨 리포트처럼 생각이 되지만 영미 소설이다. 그래서인지 문화적 차이가 느껴지는 것은 어쩔 수가 없다.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부분도 많다.

그렇지만 어는 나라나 어릴적 부모에 대한 기억, 자라온 환경등이 어른이 되어도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깨닫게 된다.

한참 자라는 아이들을 키우는 입장에서 또다른 관점으로 이 책을 대하게 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사랑에 관한 쓸 만한 이론> 결국 쓸 만한 사랑 이론은 아무것도 없단다. 사랑은 자기실현이고 사랑은 자력이란다. 스스로 마음을 열고 사랑도 노력해야만 하는 그래서 어른이 더 힘든 것이 사랑이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