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와 나 - 한없이 다정한 야생에 관하여
캐서린 레이븐 지음, 노승영 옮김 / 북하우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모든 관계맺기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가족, 아버지로부터 어린 시절 학대를 당한 경험이 있다. 그 영향으로 일찌감치 차라리 혼자 살아가는 법을 배웠다. 더이상 상처받지 않기 위해 그녀 자신을 지키기 위한 나름의 해결책이 아니었을까. 그런 결정은 그녀를 로키 산맥의 오두막집으로 이끌었다.

 


그녀의 생물학자이다. 자연, 동물들을 관찰하고 연구한다. 그녀가 선택한 오두막은 번잡한 인간세상에서 벗어나 자연에만 집중할 수 있는 최고의 장소였다. 그 누구도 쉽게 찾아올 수 없는.

 


그런 그녀의 집에 꼬마 여우 한 마리가 찾아왔다. 처음에는 그러다 말겠지 하였으나, 여우의 방문은 계속되고 매일 4시 15분은 이제 여우와 그녀의 약속된 시간이 되었다. 그녀는 여우에게 어린왕자를 읽어주기를 시작했다. 매 문장이 끝날 때면 15초의 침묵을 두는 것을 잊지 않았다. '여우가 말할 차례'라는 뜻으로. 인간과는 다른 언어를 쓰는 이 작은 손님에게 건네는 섬세하고 따뜻한 마음이다.

 


생물학자로서 자연사를 가르치는 그녀에게, 야생동물의 의인화는 '생각만해도 감상적이고 꼴사나운 짓'이었다. 대신 그녀는 여우와 적당한 거리를 두면서 매일 여우가 그녀의 공간에 잠시 머무르는 것을 허락한다. 우리가 애완동물을 키운다면 이름을 붙이고 함께 사진을 찍겠지만, 저자는 여우의 영역에 침범하지 않는다. 그저 '우리 여우'라고 부를 뿐. 그러나 그 둘은 분명 서로를 받아들였다. 진정한 우정으로.

 


저자는 오두막을 감싸주는, 아름답고 때로는 두렵기까지 한 자연과 동식물들을 담담하게 그려낸다. 여우와의 만남 또한 호들갑스럽지 않고 차분하게 써내려간다. 정신없는 현대사회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서의 삶을 선택한 그녀의, 자연에 대한 존중과 배려가 아니었을까. 온 세상를 뒤흔들어대며 마치 지구의 주인인냥 행세하고 있는 인간도, 결국에는 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셀 수없이 많은 생명체중 하나에 불과하다는 것을 독자들에게 말하듯이.

 


이제 우리 여우는 떠나갔다. 책에는 뽀얗게 보여 마치 그림처럼 느껴지는 여우 사진 한 장만 남겨져 있다. 인간과 여우, 인간과 자연이 서로 함께한 짧지만 아름다운 기록. 책 표지에 써있는 것처럼, 이보다 더 다정한 야생에 대한 기록이 또 있을까 싶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