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과 수리공 - 과학을 뛰어넘은 엔지니어링 이야기
권오상 지음 / 미래의창 / 2014년 4월
평점 :
절판


 

노벨상과 수리공.

과학자는 있는것을 공부하는 사람이고, 엔지니어는 없던 것을 창조해 내는 사람.-데오도르 폰 카만.

명쾌하게 단정 짓기 힘들지만 우리의 무의식 속에 자리한 고등의 과학자와, 그에 비해 하등의 엔지니어에 대한 명쾌하고 기분좋은 설명이 있는 책이다.

이 책에서는 엔지니어라는 표현을 썼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기계쟁이, 전기쟁이, 화학쟁이 등등의 -쟁이 라는 표현을 더 많이 쓰기도 한다.

저자는 이런 엔지니어링이야말로 과학이 나온후 파생적으로 나온게 아니라, 엔지니어랑이 먼저 있고 그로부터 과학이라고 하는 부차적인 분야가 생겨났다고 말한다. 과학보다 엔지니어링이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

쉬운 예로 유인동력비행기를 보면 저명한 과학자 랭글리는 유인동력비행기의 문제를 이론의 문제로 보고 물리학의 공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실제 테스트를 해보지 않았지만

자전거 수리공 라이트형제는 1000번 이상의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이론과 계산보다는 비행기가 실제 실제의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날수 있는 방법을 찾는데 몰두했다

그결과 랭글리가 7년간 엄청난 재정지원을 받으며 연구한 비행기 공개 시험에서 참담한 패배를 한

반면 9일후 라이트 형제는 유인동력비행기의 새로운 역사를 열었다.

이처럼 과학의 이론적 계산은 엔지니어링 후에 나올수 있지만 엔지니어링은 과학의 이론만 있다고

탄생하는 것은 아니것이다.

과학은 새로운 원리를 찾아 내려하는 반면 엔지니어링은 실체가 있는 무언가를 만들어 내려는 것이다

결국 과학만으로는 아무것도 해결할수 없다는 것이다.

저자는 현재 대한민국에서 기피하는 이공계를 위해 이렇듯 엔지니어링에 대한 생각을 피력한데는

우리나라의 미래가 엔지니어링의 건전한 정신에 달려있고, 장래 엔지니어를 꿈꾸는 젊은이들에게 선배 엔지니어로써 따뜻한 말들, 위로와 비젼을 보여주고자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