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창 주거 문제로 골몰하던 때가 있었다. 어느 날 괴테의 『파우스트』를 읽다가 ‘인간은 노력하는 한 방황한다’는 그 유명한 문구가 내 눈에는 신기하게도 ‘인간은 노력하는 한 이사한다’로 읽히는 것이 아닌가. 주거 문제가 은연중 내 삶에 중요한 비중으로 다가와 있었다.

 

 

투쟁 끝에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룬 건 서른여섯 살이 돼서다. 대출이 대부분이라 ‘내 집’이라 부르기도 무색하지만, 원금과 이자를 꼬박꼬박 내다보면 15년 만기상환일이 도래할 것이다. 나이 쉰은 넘어야 온전한 내 집을 갖게 되는 셈이다. 까마득하지만 그날은 온다.

 

 

‘내 집’ ‘대출’ ‘이자’ ‘만기상환’과 같은 세속의 용어를 언급하면서 투쟁이라는 수식어를 붙이는 것이 과연 적절할까. 투쟁을 논하려면 최소한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대한 저항, 부정적 대상을 극복하기 위한 치열한 싸움 등 거시적 담론쯤은 돼야 한다고 생각하던 터였다. 이상을 고민하면서 온몸을 던졌던 위인들에게나 어울리는 단어라 여겼다.

    

 

투쟁에 대한 개념이 달라지기 시작한 건 서른을 넘기면서부터다. 직장에 다니고, 가정을 이루고 육아를 하면서 투쟁은 누군가의 전유물이 아닌 걸 알게 됐다. 하루하루 밥벌이를 고민해야 하고 기약 없는 취업 전선에 뛰어들며 직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치는 것이야말로 투쟁의 현장이다.

    

 

결혼에 진입하는 과정도 쉽지 않다. 결혼을 넘어서면 ‘육아 전쟁’이 찾아온다. 투쟁을 넘어 전쟁의 반열에까지 오른 게 육아의 세계다. 미세먼지의 습격 속에서 아이들과 속수무책으로 방구석에서 씨름해야 하는 눈물겨운 일상이야말로 단언컨대 투쟁의 단면이다.

 

평범한 사람의 미시적 일상도 투쟁이다.

    

내 집 마련으로 주거 투쟁은 끝인 줄 알았다. 하지만 자녀교육, 자연과 주변 환경, 또 노년을 어떤 모습으로 보낼 것인가 하는 고민 등 넘어야 할 산이 또 보인다. 종착지인 줄로만 알았던 내 집 마련이 사실은 정류장에 불과했다. 주거 투쟁의 2막, 3막은 이어질 것이다.

    

 

* * *

 

10대 시절에서 30대 후반의 지금까지, 내가 살았던 집을 하나씩 되돌아보면서

백지에 ‘주거 이력서’를 써내려갔다.

처음엔 단순히 주거 문제라 생각했지만, 어느덧 ‘주거=인생’이었다.

집은 내 희(喜), 로(怒), 애(哀), 락(樂)과 묵묵히 함께해오고 있었다.

 

삶의 과정이 ‘주거 투쟁’의 연속이었음을 깨닫는다.

인생의 시기마다 이사의 이유와 지향점이 다르다는 사실도 알게 됐다.

40대가 돼도 이 투쟁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지금까지, 또 앞으로 전개될 ‘주거 투쟁’에 관한 이야기다.”

    

 

 

* 위 내용은 <나의 주거 투쟁>(김동하 지음, 궁리 펴냄)에서 발췌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