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하니까 사람이다 - 정신과 의사들만 아는 불안 심리 30
김현철 지음 / 애플북스 / 201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불안을 자연스러운 삶의 요소로 보게 해주는 책이다. 불안을 부정적인 감정으로 치부할게 아니라 어떤 의미 즉 더 좋은 삶을 위한 절대적인 힌트 내지는 재료로 보자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사실 이런 생각이 우리 각자의 삶에 얼만 큰 위로가 되는가! 이 책 속에는 정신과 상담을 하며 겪었던 무수한 사례가 제출되고 있다.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우리가 한번쯤 겪었거나 앞으로 겪게 될지도 모를 심리적인 숙제들을 거론하고 또 해부한다. 그러는 가운데 우리는 문제 이면에 자리하고 있는 해답을 얻기도 한다. 더이상 불안이 부정적인 의미가 아닌 오히려 행복으로 한걸음 더 다가서게하는 도움의 손길이 될 수 있음을 배운다. 책을 읽는 동안 나의 삶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기도 했지만 아울러 주변 지인들의 모습이 떠오르기도 했다. 이따금 가까운 사이가 되면 이런 저런 고민들을 듣게되는 자리를 만난다. 그럴 때 문제를 쉽게 단정하거나 해답을 주려는 실수를 하기도 하는데, 사실 인간이 겪는 심리적 문제들에 대해 도움을 주려면 상당히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 법. 어설프게 접근했다가는 오히려 화를 부를 수 있다. 그러니 인간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얼마나 중요한가. 이 책은 그런의미에서 나에게 도전이 되었다. 사람은 복잡한 존재이며 감정의 문제에 있어서는 더욱 그러하다는 것. 그러므로 타인의 고민을 듣는 때에는 무심코 해답을 주기 보다 잘 경청해주는게 좋을듯 싶다. 그리고 그 사람이 더 깊은 곳에 숨어있는 자신의 생각에 다가갈 수 있게 질문하고 격려해준다면 좋겠다. 처음 책을 읽기 시작할 때 글이 편하게 읽혀지지 않았는데 그건 아마도 저자의 글이 나에게는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던것 같다. 하지만 중반을 넘어서며 적응되었다. 그리고 내가 도움을 받았던 내용도 거의 마지막 페이지에 도착해 읽을 수 있었다. 저자는 개인을 나무에 비유했다. 나무에 생긴 옹이가 무엇인지 차근차근 알아갈 것을 당부했다. 문제가 있다고 너무 괴로워할 필요가 없으며 문제 없는 사람은 없다고. 단지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이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