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 BOOn 1호 (창간호) - 2014년
RHK일본문화콘텐츠연구소 편집부 엮음 / RHK일본문화콘텐츠연구소(월간지) / 2014년 1월
평점 :
품절


 

 

 

 

BOON’[bu:n]이란 ‘재미있는, 유쾌한, 긴요한’이라는 뜻을 가진 말로 ‘文化(문화)’의 일본어 음독인 ‘분카’의 ‘분(bun)’과도 발음이 같다. 따라서 <BOON>은 ‘유쾌한 일본문화 읽기’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BOON』 창간의 배경

 

RHK 일본문화콘텐츠연구소에서 일본문화콘텐츠 종합잡지 『BOON』이 출범한다. 현재 한국에서는 일본의 문화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이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곳은 거의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정보의 오류로 인한 오해나 양질의 문화콘텐츠가 제대로 소개되지 못하고 또한 한국의 문화콘텐츠를 일본에 제대로 알리지 못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일본의 문화콘텐츠에 관한 정확하면서도 빠른 정보 제공과 이에 걸 맞는 심도 있는 연구가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의 문화콘텐츠 산업은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여 전 세계에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발신하고 있으며 특히 한류는 더 이상 아시아에 국한된 문화현상이라고 할 수 없다. 이렇듯 국경을 초월한 문화교류는 우리에게 낯설지 않은 혼종적인 문화의 장을 제시한다.『BOON』은 ‘문화콘텐츠’를 매개로 ‘일류(日流)’와 ‘한류(韓流)’를 넘어서는 한일간 ‘환류(還流)’의 가능성을 지향한다. 『BOON』은 공감하는 문화, 소통하는 문화를 통해 한국과 일본이 서로를 이해하여 신뢰를 구축하고 나아가 아시아와 세계의 문화 창출에 기여하는 첫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작가를 읽다

현재 한국과 일본에서 주목받고 있는, 혹은 주목할 만한 작가와 작품의 심층 분석을 통해 우리들이 향유하고 있는 문학의 현주소를 탐구하는 코너이다. 창간호의 특집은 한국과 일본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추리소설작가 히가시노 게이고이다. 소설뿐만 아니라 영화로도 제작되어 각광을 받은 그의 작품을 심층 분석하여 그의 인기 요소를 진단한다.

특집 기획

한국과 일본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이 고민하고 있는 문제와 이슈를 심층 탐구하여 새로운 우리들의 미래를 만들어가는 코너이다. 창간호의 특집 기획은 최근 은퇴를 발표한 미야자키 하야오이다. 그에 관한 통시적 고찰부터 그의 작품 세계에 드러난 자연관과 사상, 소소한 일상까지 애니메이션의 거장이라 불리는 미야자키 하야오를 다층적으로 탐구한다.

연재소설

현재 일본에서 연재되고 있는 소설의 동시연재를 통해 유명작가에 한정하지 않는 새로운 일본의 소설을 한국에 소개하는 코너이다. 창간호부터 연재되는 소설은 『소설신초(小説新潮)』와 공동으로 연재하는 히구치 유스케(樋口有介)의 「어항, 그 여름날의 풍경(金魚鉢の夏)」이다. 히구치 유스케는 제6회 산토리 미스터리 대상에서 독자상을 받은 추리소설 작가로 플롯과 트릭에 우수한 작품을 공개하여 주목받고 있다.

기획연재

‘우리의 기억과 문화’라는 테마로 2가지의 기획을 연재한다. 우리 도시에 남겨진 일본인들의 삶 과 문화, 일본 속에 남겨진 한국인들의 삶과 문화를 탐색해보는 <그 많던 신사는 어떻게 사라졌을 까>, 그리고 유구한 일본의 문화라고 생각했던 전통이 근대라는 접점을 통해 어떻게 탄생하고 재 생산, 확대되었는지를 탐색하는 <일본문화의 탄생> 이 바로 그것이다.

문학산책

한국에서 꾸준히 연구되며 일본에서 저명작가로 평가받는 작가들을 추적해가는 코너이다. 창간호에서는 「인간실격」으로 국내에도 널리 알려진 다자이 오사무이다. 다자이 오사무의 전집이 출간되면서 또 한 번 다자이 오사무에 관심이 쏠리는 요즘, 그의 문학관을 탐방하여 지금도 그를 기억하고 추억하는 한국과 일본의 감성을 그려냈다.

에세이

한국과 일본이라는 지정학적 위치를 넘어 우리들의 문화 공간과 그 경계를 넘는 생각과 논의를 소개하는 코너이다. 창간호에서는 드라마 <학교2013>으로 유명한 이현주 작가가 종말을 앞에 둔 우리들의 모습을 다시금 진단하는 이사카 고타로(伊坂幸太郎)의 『종말의 바보(終末のフール)』를 논한다.

 

『BOON』 은 일본에서 발신하는 문화, 일본과 한국에서 교차되는 혼종적인 시각, 한국에서 새로이 창출되는 일본의 문화 등 새로운 문화 지형도를 만들고 공유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상당한 퀄리티의 삽화는, 실제로 오른쪽의 사진을 수채화로 그린 것 같다.



 

 

 

특집 기획

이웃집 토토로,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으로 잘 알려져 있는 애니메이터 그가 2013년 “바람이 분다.” 라는 은퇴작을 내 놓고 애니메이션계를 떠났다. 아직 17살인 우리 세대에서는 어렸을 적 우연히 EBS에서 보았을 ‘플란더스의 개’ 나 ‘빨간머리 앤’ 을 빼면 그 후 나온 영화들에서 그를 만날 수 가 있다. 그의 그림체는 개성적이라고 해야 할 것 같기도 하고 정말 동화같은 심플한 기초적 애니메이션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 같다. 내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작품은 “고양이의 보은” 과 “빨간머리 앤” 시리즈 이다. 다른 “이웃집 토토로”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같은 작품들은 분명히 대작이지만 내 주관적인 판단으로는 결말이 확실히 나지 않은 열린 결말이라는 것이 좀 많이 찝찝하다. 동아리 친구가 내게 말하길 “이번 주에 ‘바람이 분다.’ 영화 개봉한데!” 라면서 좋아한 적이 있었고 반 친구가 서울에서 열린 ‘지브리 스튜디오 작품 전시회’에 갔다와서 사진으로 후기를 보여주었기 때문에 그 날부터 알고 있던 미야자키 하야오는 마지막 작품에서 우리에게 큰 실망을 안겨 주었다. “바람이 분다.”의 배경은 거의 일본의 전쟁 미화와 비슷하고 주인공이 그 주축의 실존인물이었다는게 문제 였다. 필자도 이번 서평에서 보기를 꺼려 했던 그 영화의 예고편을 보게 되었는데 비행기를 날리는 소년 까지는 이 때까지의 작품 중에서 가장 부드러운 연출이었다고 생각 한다. 그 뒤로는 역사책에서 나왔던 해군장교 모양의 모자를 쓴 기모노를 입은 남자 아이가 나와서 눈살이 찌푸려졌지만 말이다. Boon의 글 중 하나는 “응답 하라, 1990년대의 미야자키 하야오.” 라는 제목을 가지고 있다. 나도 그 때의 그를 지금 만나고 싶은 심정이다.


 

귀여운 우리의 포뇨 +_+




 

작가를 읽다

일본 추리 소설의 대가라고 말할 수 있는 작가 “히가시노 게이고” 일본에서는 이미 그의 작품이 드라마나 영화로 만들어져 대 흥행을 이루었고, 우리나라에서도 그의 작품을 리메이크 시킨 영화들이 속속히 등장해서 흥행을 이끌었다. 초등학생 시절 그의 이름을 처음 알았고, 중학교에 올라와서 읽은 첫 책이 ‘레몬’ 바로 그의 작품 이다. 그리고 요즘 본 원작 ‘용의자 X의 헌신’의 우리나라 영화인 ‘용의자 X’ 를 보았듯이 그는 이미 우리 생활 속 깊숙이 들어와 자리 잡고 있다. 허나, 슬프게도 필자는 그의 소설을 좋아하지 않는다. 추리 소설을 좋아하기는 하지만 항상 사람이 죽는 이야기는 싫어하기 때문에 미카미 엔의 ‘비블리아 고서당의 사건 수첩’ 이라든지, 우타노 쇼고의 ‘마이다 히토미’ 시리즈, 그리고 나중에 말할 요네자와 호노부의 ‘고전부’ 시리즈를 좋아 한다. 그의 작품은 조금 앞부분만 읽다가 마는 편이라 이 글을 보는 많은 팬들께는 미안한 마음을 전하고 싶다. Boon을 읽는 다면 그의 대한 많은 사람들의 생각을 읽을 수 있으니 난 이쯤에서 이야기를 마무리 하고자 한다.



연재소설 & 문학산책

어항, 그 여름날의 풍경에 대해서는 작가가 미스터리 대상을 받았다는 말 밖에 아직 해주지는 못하겠다. 하지만 일본의 소설신조와 공동연재를 한다고 하고 그렇다면 나중에는 책으로도 발매된다는 가능성이 있다는 이야기니 한번 쯤 노려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 이야기 이다. 그리고 문학산책의 다자이 오사무, 그는 인간실격이라는 작품으로 한번쯤 들어봤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내게는 소설 ‘비블리아 고서당 1권’에서 주인공인 사오리코가 그의 작품 중 하나인 ‘만년’을 가지고 이야기를 풀어냄으로 나에게는 그 ‘만년’의 작가인 다자이 오사무가 더욱 친근하다. 다자이 오사무의 생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기도 해서 그의 팬이라면 읽기 좋은 책이 될 것 같다.

 



기획연재 & 책 홍보


 

에세이


 

한번쯤 읽어보면 좋을 글


 

편집실의 서재 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일본 책을 소개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