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에게 가는 의미
김율도 지음 / 율도국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적으로, 인간적으로 라는 말을 먼저 떠올리게 된 책이다.

서평카페나 사이트에는 잘 나오지 않는 시집이 등장해서 이기도 하고 출판사이름과 작가이름이 같은 까닭이기도 하다. 또, 인간적으로 연애시는 이미 다 쓴 것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이미 나온 연애시도 잘 안 읽히는 마당에 새로운 시집이 잘 될까는 생각이 있었기 때문이다.

서평신청이 그다지 많아 어렵지 않게 명단에 포함되었다. 예전같았으면 작가보다는 책 내용에 신경을 더 많이 쓰려고 노력했다면 연애시를 쓰고 다른 사람에게도 읽히기를 바라는 작가가 궁금해지기도 했다. 그가 활발한 작품을 한다는 것은 마음에 젊은이 가득할 것이다. 그래서 연애시가 태어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대에게 가는 읨>에서 보면 '그대의 허물을 받아들인다는 의미'처럼 언제 화낼지 모르는 그대들, 사람들을 감당해내며 살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대 쪽으로 스러지다>에서는 '살다가 살다가 어느 날 갑자기/커다란 의미를/찾고 싶을 때가 있다'고 했다. <아프지만 아프지 않아>에는 '나는 딱따구리가 가슴을 파먹은 나무/아프지만 그 안에/생명이 살고 있으니/아프지 않아/네 속엔 무엇이 살고 있니?'라고 묻기도 한다. <절룩이는 모습으로 그대에게 간다>에는 '절룩거리는 모습 보여주기 싫었는데/절룩이며 걷다가도 그대가 오면/그 자리에 멈춰서서/아무 일 없었던 듯/그냥 나무처럼 서 있고 싶었는데//절룩이는 슬픔 모습/그대 앞에서는 절대 보여주지 않으리라/아, 그대가 나에게 오기만을 기다리다가/기다리다가/이제 내가 먼저 가려한다'에는 먼저 다가가려는 모습도 보인다. 문학이라는 그에게 무엇일까? 시집으로 《엽서쓰기》《수학노트에 쓴 사랑》《10만원짜리 팬티 입은 서울 타잔》《다락방으로 떠난 소풍》이 있고 동화집으로 《큰 나무가 된 지팡이》가 있으며 장편소설로 《시인, 조폭》이 있다. 게다가 소설창작교실도 하고 있으며 《세상을 뒤집는 스토리텔링》이라는 소설 창작교재가 있다. 《시인, 조폭》이라는 소설을 보면은 그가 얼마나 누군가에게 닿기 위해 노력했는지 알수 있다. 시집에 나오는 삽화까지도 작가 자신이 그렸을 거라는 추측까지도 했던 이유는 그가 얼마나 노력하는지 시의 여기저기에서 나오기 때문일 것이다.

인간적으로, 인간적으로 자신이 당하지 않은 아픔에 대해 무관심하지 말자. 언젠가는 주위의 사람이 비슷한 고통을 겪을 수 있을 것이며 또 그 고통이 내가 아니라고 해서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구성원들의 마음이 모여 사회가 이뤄지듯이 그대에게 가는 마음은 '그대의 치명적인 결점도 나에게 오면 필수 비타민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인지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