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케 -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들의 비밀
마이크 비킹 지음, 이은선 옮김 / 흐름출판 / 2019년 4월
평점 :
절판


우리에게 있어서 행복이라는 것은 무엇일까? ‘<세계 행복 보고서>에 따르면이라는 문장이 가장 먼저 들어왔다. 얼마나 많은 사람이 행복해지려고 고민했을까? 수세기 동안 인류가 행복을 측정해온 방식, 돈이나 권력이 행복의 중요한 요소이고 전부였다. 1인당 국민소득 등을 돈을 행복의 지표였으며 각 나라의 정책에 관심을 가져왔다. 그러나 제1장에서 아주 행복한 덴마크 국민이 있는가 하면 아주 불행한 덴마크 국민이 있다는 개인적인 편차를 알 수 있다. 행복을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알고 또 행복을 찾아 나서는 사람들에 대해 안다면 우리도 행복에 닿지 않을까?

먼저 행복을 지금 행복한 것처럼 정서적인 영역과 전반적으로 행복한 것처럼 인지적인 영역으로 나눴다. 여기에다 저자는 에우다이모니아 eudaimonia’라는 세 번째 영역이 있다고 말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생각한 행복의 개념을 근간으로 이뤄져 있으며 그의 관점에서 훌륭한 삶의 의미와 목적이 있는 삶이다. 여기서 말하는 행복은 이 세 가지 영역이 이뤄지는 행복이라고 정의를 했다.

욕심에 사로잡혀 또는 현실에서 살아남기 위해 때로는 외세의 치열한 투쟁을 위하여 스스로 행복을 잃어버렸음에도 찾으려 노력하지 않는 것이다. 신발이나 휴대전화를 잃어버렸다면 찾으려고 노력하지만, 행복은 그렇지 않다.

 

우리는 스스로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고 싶지만, 시대가 나를 휘감고 내가 시대에 사는 한 삶에서 비겁해질 수밖에 없다. 어른이 된다는 것은 생의 비겁함을 인정하고 그것과 화해 하는 것이다.

- <정약용의 고해>

 

고난을 겪는다고 어떤 마음으로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인생이 달라진다고 말하는 다산 정약용은 욕심은 버리는 것이 아니라 다스리는 것이라 했다. 특히 돈과 지위에 관한 욕망에서 벗어나지 못한 우리에게 행복해지려면

 

나는 하나님께 이렇게 기도한 적이 있다. 내가 두 가지 일을 주께 구합니다. 내가 죽기 전에 이것을 허락하소서. 내가 속이고 거짓말하지 않도록 나를 도우시며 나를 가난하게도 부하게도 하지 마시고 다만 나에게 매일 필요한 양식을 주소서. 그렇지 않으면 내가 배불러서 주를 저버리고 하나님을 누구냐고 말하거나, 아니면 내가 가난해서 남의 것을 도둑질하여 내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 할까 두렵습니다.“

- 성경 잠언서

 

너무 많은 미디어와 정보에 노출되어 있기에 행복을 잃고 상처를 받았기에, 작은 일에 분노를 하고 행복하지 않다고 생각하는지도 모른다. 갖지 못한 사람들은 그것에 관련해 불투명한 미래 때문에 불안하고 사회의 불평등과 공정하지 못함에 분노를 하는 것일 테고 가진 자들은 아무리 채워도 채워지지 않는 욕심 때문에 삶이 허무해지는 것이다. 행복해지려고 노력해야 한다. 행복이란 무수한 평범한 날들이 모여서 어른이라면 자신의 마음을 모을 수 있고 다스릴 수 있어야 다른 사람에게 행복을 전달할 수 있다.

 

이 책은 행복을 찾으려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