빼기의 여행 - 대책 없이 느긋하고 홀가분하게
송은정 지음 / 걷는나무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많이 알아서 손해 볼 것이 없다는 뜻으로 배워서 남 주랴라는 말이 있다. 성장 일변도의 세대가 지금의 세대에게 귀에 못이 박이도록 한 말일 것이다. 여행에서 뭔가를 배워야 하고 목적을 정하고 계획을 세워 정해진 순서대로 진행되어야 하며 그것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는 그다지 좋은 반응이 아니었을 것이다. 작가는 어떤 식으로 빼기의 여행을 깨닫게 되었는지 어떤 여행이 우리에게 더 행복한 것인지 자신의 체험을 통해 알려주려고 하고 있다.

최근 백 년 사이의 여행이라고 하면 그 지역의 문물이나 사람들과 소통도 하고 색깔과 방식이 다른 문명을 이해하는 것에 있다고 하겠지만 교통이 발달하지 않았을 아주 먼 과거에는 여행이라면 사냥이나 생존을 위한 이동이 주가 되었다. 거기에는 지금 상황보다 더 나쁠 것은 없고 무슨 일이 생길지 모른다는 생각도 있었을 테고 완벽한 준비만이 가장 최선의 방어가 아닐까 한다. 인간의 역사에서 아주 짧은 지금도 그것이 최선의 방어라 생각하며 공부하고 정보를 찾고 하는 것처럼 때로는 원시적인 여행습관이 우리에게는 더 많이 남아 있다.

어쩌면 낯선 길의 설렘보다는 두렵고 무서운 존재와의 만남을 더 회피하기 위한 방책은 아닐까 한다.

 

구글맵 없이 카페 찾아가기

오직 한 가지를 보기 위해 떠나기

비 오는 날 차 안에서 컵라면 먹기

야자수 아래서 낮잠 자기

맛집 찾는 대신 직접 요리하기

나에게 엽서 쓰기

기분이 좋다는 이유만으로 선택하고 행동하기

 

신대륙을 발견한 콜럼버스처럼 때로는 말도 안 되게 지도조차 안 보고 떠나는 여행. 콜럼버스가 과거의 책들을 몇 권을 읽고 모험을 떠났다면 그는 결코 신대륙을 발견할 수 없었으리라.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지다는 생각을 가졌던 사고는 먼바다로의 항해를 불가능하게 했을 것이 분명할 테니까 말이다.

 

버스나 지하철은 한 정거장 일찍 내려 걷기

최단거리를 찾는 대신 골목으로 에둘러 가기

핸드드립 커피 천천히 내려 마시기

초록불이 깜빡일 때 무리해서 건너지 않기

귀찮더라도 반찬은 그릇에 덜어 먹기

창문가에 꽃 꽂아두기

좋아하는 걸 망설임 없이 좋아하기

 

아주 사소할지 모르지만 살아가는 일이라는 것이 2번 있을 수는 없지 않을까. 늘 처음이라서 결과보다는 과정이 더 중요하고 살아간다는 자체가 더 중요해서 결과보다는 과정에 충실하여지자는 빼기의 여행에 한 번 더 관심을 끌게 되는 이유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