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 : 우리말 유래를 통해 배우는 초등 국어 1
우리누리 지음, 심심스쿨 그림 / 길벗스쿨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 한권으로 꽤나 똑똑한 초1이 될 것같은 생각이 드네요.

 

유래를 통해 배우는 초등 국어 1. 우리말

그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

 

DSC_1986.JPG

 

초등국어가 저학년일 수록 중요한 이유는?

 

국어가 곧 수학이고 영어로도 연결이 되기 때문이죠.

 

 

아이의 학습능력의 결과물이 대부분 1학년부터 6학년까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하는 걸 보면,

'첫 단추를 잘 끼워야 하는 게 중요하다는 말' 절대 틀리지 않는 것 같아요.

 

학교를 입학하고 첫 수학 단원 평가를 쳤는데,

틀린 문제는 수가 헷갈려서가 아니라 문제의 어휘를 몰라서 였답니다.

 


 

DSC_1987.JPG

 

초등국어에 우리말은 물론이고 관용구와 속담 그리고 한자어까지 등장을 하죠.

 

그냥 아는게 아니라 정확하게 알아야 내 글에도 녹여낼 수 있잖아요.

 

 

 

커버 페이지의 유머, 그냥 우스개소리가 아니라

아이에게 찬찬히 읽게 해주세요.

 

'강추위라고는 쓰는데 강더위라고는 안쓴다'라고 ㅋㅋㅋ

 

 

 


 

DSC_1988.JPG

 

머리말에도 나오 듯이 영어단어를 공부할 때 사전을 찾아보면

그와 관련된 단어들과 어원들이 줄줄이 나오지요.

 

 

 

 

우리말도 마찬가지로 이 말들이 오랜시간을 거치면서 조금씩 변화하기도 했고

본래의 의미가 바뀌기도 했기 때문에 정확한 의미뿐만 아니라 역사와 문화까지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귀에 익숙한 우리말도 정확한 뜻을 앍고 그 유래까지 알고 쓴다면

그게 바로 백점 만점에 백점이겠죠.

 

 

 


 

DSC_1989.JPG

 

 

말뜻을 이해하고 정확하게 사용하게 제대로 표현할 수 있다면

어휘력이 확장되는 건 물론이고 초등 국어 공부에도 자신감이 생길 것 같아요.

 

 

 

우리말에 관용구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는데요.

 

 

먼저 '감쪽같다'가 나오네요.

일을 빨리 하거나 흔적을 남기지 않고 처리할 때 마치 곶감의 쪽을

먹어 치우듯 한다는 뜻에서 '감쪽같다'는 말을 쓰게 되었다.

 

 

사실 무지한 엄마는 '곶감의 쪽'을 정확하게 알지 못했네요.

이렇게 엄마도 같이 공부하는 거죠. ㅋㅋ ㅠㅜ

 

 

 

 


 

DSC_1990.JPG

 

 

그리고 '곤죽'이라는 우리말이 나오는데요.

 

우리아이는 잘 모르겠다고 해요.

 

이 뜻을 아는 초등 1학년 아이가 있다면 똑똑하다고 칭찬해주고 싶네요. ^^

 

곤죽은?

곯아서 썩은 죽처럼 상하거나 풀어진 것을 말한다.

 

밥이 몹시 질거나 땅이 질척질척 한것, 일이나 물건이 엉망진창이 된것,

사람의 몸이 지나치게 피곤하거나 축 늘어진 상태

 

 

 

 


 

DSC_1991.JPG

 

 

그리고 연이어 나오는 우리말은 '괴발개발'

 

요즘에 갈수록 흘림체?에 도통한 듯 글을 갈겨쓰는 아이에게 꼭 해주고 싶은 말이 나오네요.

 

 

사실 참 많이 쓰이는 단어이긴 한데 비속어처럼 들리잖아요.

2011년에 표준어로 인정받았다고 해요.

 

 

 

 


 

DSC_1992.JPG

 

 

'미주알고주알'은 캐묻는다라는 말이 생긴 건데요.

 

'미주알'은 항문에 닿아 있는 창자의 끝 부분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해요.

 

남의 숨은 일까지 속속 캐려는 것이 마치 창자 속까지 살펴보려는 것 같다는 거죠.

 

 

 

 


 

DSC_1994.JPG


 

 

그리고 요즘아이들은 절대로 경험할 수 없을 것만 같은 '보릿고개'

사실 이시기는 우리 어릴 때도 없던 것이기도 해요.

 

 

'보릿고개'를 설명하는 데 임금님이 신하들에게 문제를 내는 것으로 풀어놓은

이야기도 참 재미나더라구요.

 

아이들이 재미있게 새로운 어휘를 익힐 수 있을 것 같아요.

 

묵은 곡식은 다 먹고 보리는 아직 여물지 않은 이 시기를 일러 '보릿고개'라고 한다.

 

 

 

 

DSC_1995.JPG

 

 

그리고 개밥에 도토리

 

새로운 어휘가 등장을 하는 페이지 처음에 이렇게 3-4컷의 짧은 만화로

호기심을 주고 또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을 보여주는데요.

 

 

먼저 이해하고 좀 더 깊에 파들어가는 것도 좋은 것 같아요.

 

 

개들은 밥그릇에 떨어진 도토리를 먹지 않는다.

 

결국 밥만먹고 도토리만 남은 모양새가 도토리가 따돌림을 당하는 것처럼 보여서

여럿 가운데 끼지 못하고 따돌림을 당하는 사람을 '개밥에 도토리'라고 해요.

 

 

 


 

DSC_1997.JPG

 

 

초등국어 교과서를 기본으로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핵심낱말과 관용구를 담고 있어

읽을수록 참 유용하다는 생각이 들게 하는데요.

 

 

 

 

엄마도 대충알고 있던 말들을 정확하게 알게되고

아이는 새로 습득한 단어를 실생활에서 마구 활용해서 좀 유식하다는 말 좀 듣겠어요. ㅋㅋㅋ

 

'그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 1. 우리말' 한권으로도

우리 아이가 꽤나 똑똑해 질 것 만 같은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