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슬비보다 작은, 이슬 맺힌 비가 소소솔 떨어졌다. 날이 좋으면 부러 멀리 나갈까 했더니 그냥 가만히 서서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전시를 보러 가기로 했다.

습도 높은 날의 낭만적인 빗소리와 차창 밖의 마음 녹이는 편안함은 내가 느끼기 어려운 기분인지라, 눅진한 날씨가 누르는 무거움 때문에 감정이 좋을 리 없었다.

씹었을 때 눅눅해서 치아로도 잘리지 않는 오징어칩. 그 질긴 듯 녹은 과자의 질감이 장마철 내 모습이다.

 

습기 먹은 내 몸은 453번 버스를 타고 현대해상에서 내렸다. 터덜터덜 걸어서 울산 문화예술회관 1전시실로 들어서자 에어컨 바람이, 습도를 차고 건조하게 바꿨다.

눈 앞에 펼쳐진 서예 작품들은 광장을 둘러싼 벽에 촘촘히 걸린 것처럼 광활하게 펼쳐졌다. 먼저 눈길을 끈 작품은 한시였다.

한시의 글자체는 그 자체만으로도 형이상학적 그림을 자랑했다. 본디 나는 시와 그림의 어려움은 똑같다 여겼는데 정자체가 아닌 것을 읽을 수 없는 것만으로도 그 생각은 더 커졌다.

 

모두 하나같이 누구 선생의 시, 누구 선생의 시들이 끊임없이 펼쳐졌다. 뒤로 갈수록 큰 상을 받은 작품들이 이어졌다. 눈길을 끈 건 한글로 써진 윤동주의 별 헤는 밤이다.

앞의 작품들은, 보면서 어떤 서체(書體)로 썼는지, 이 시의 내용이 담긴 감정과 시대적 배경이 무엇인지 알고 싶었다. 그걸 유추할 수 있는 유일한 글이 별 헤는 밤으로 윤동주를 주인공으로 한 소설, 영화와 그를 사실적으로 다룬 평전을 생각했다.

별 헤는 밤 외에 다른 작품들을 보면서 생각한 건, 작품에서 나오는 아우라가 아니라 그들이 어떤 눈빛으로 붓을 잡았을까 하는, 작업 중의 모습이었다. 그러다 보면 감탄이 절로 나왔고, 내가 작품을 이해하는 단 한 가지 방법이기도 했다.

 

함축적 감정의 절정체인 시와 그림은 함축 그 자체이기 때문에 어렵다. 그것은 작품을 깊게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작가들의 집중력에서 나온 반짝임으로 저 작품들을 완성했을 것이다.

왜 그 시를 선택했고, 시를 작품으로 그리는 동안 저들은 어떤 생각을 했을까, 어쩌면 아무 생각도 들지 않았을지도 모르겠다.

어려운 건 매한가지라는 내 신념(?)과 달리 보면 볼수록, 감정이 아니더라도, 작품을 보면서 느껴지는 무언가가 계속 추가되고 있었다.

 

다산 정약용의 시를 적은 이도 있었고, 별주부전을 쓴 이도 있었다. 자로 잰 듯한 한글의 아름다움을 가장 한국적으로 표현한 시들. 시를 이해하고 그림을 보며 눈을 감는 이들이야말로 섬세한 감정을 가졌을 것이다. 그러지 못한 나는 전시장 안을 그저 빠르게 걸었다.

전시장을 둘러보다 속으로 웃어버린 지점이 있었는데, 그것은 송강 정철의 사미인곡, 속미인곡을 빼곡히 적은 작품 앞에서였다. 한국의 고3을 겪어본 이들이라면 이해할 수 있는 웃음이다 (강요가 아니다). 그러니 모두라도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

이제야 시를 읽긴 합니다 라고 말하는 요즘의 나는 아직도 필사하지 않은 시가 어렵기만 하다. 그것이 하나의 작품이 됐을 때나, 아니면 한 폭의 작품으로 등장할 땐, 더 어려워진다.

 

이쯤 됐다 싶어 한 바퀴를 쓱 둘러본 후 전시장을 나왔다. 장마철의 높은 습도는 여전히 축축했다. 내 몸까지 축축해질 필요는 없는데…. 그와중에 시와 그림은 여전히 어렵다는 것을 느끼며 건물을 나갔다.

회관 앞에는 연잎이 떠있는 큰 화분이 여러 개로 있었다. 그것은 어쩌면 누군가의 그림일 수도 있겠다. 사진을 찍으면 사진사의 작품일 것이고, 물감이나 먹을 들면 한 폭의 그림이 될 것이고, 때로는 그것을 보며 활자를 그려내면 시가, 수필이, 혹은 소설로 바뀔 것이다.

 

작품과 제목을 동시에 읽어내지 못하는 나의 어설픈 한계는 무슨 무슨 작품이 있었는지 사실 구체적으로 기억나지 않는다.

단순하게 정자(正字)로 써서 읽을 수 있는 서체, 흘려 써서 읽을 수 없는 서체, 그림, 이 세 가지로만 구분했던 이 날 전시는, 내가 감정을 이해함에 꽤 서툴다는 것과 작품을 그려낸 이들의 눈빛을 생경하게 떠올리며 낯선 감각을 느낀 날이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