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쉽게 배우는 민주주의 - 고대 그리스에서 현대까지 ㅣ 지식의 즐거움 2
소피 라무뢰 지음, 에릭 엘리오 그림, 권지현 옮김 / 개암나무 / 2024년 3월
평점 :
우선 책의 주제부터 살펴보자면, "민주주의(democracy)"는 국민이 스스로 지배한다는 뜻이며, 고대 아테네인들이 생각해내어 그리스어로 국민(demos)와 지배(cratos)를 합쳐서 만들어진 단어이다. 과거에서 현재까지 항상 민주주의가 우선시 되었던 것은 아니다. 군주제, 귀족제등이 대립하던 시기가 있었고, 민주주의는 가장 늦게 나타났다. 하지만 그랬던 과거에도 민주주의와 비슷하게 시민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투표를 하기도 했다(고대 그리스, 로마, 켈트족등). 고대 그리스의 도시 국가들도 민주주의를 실험했으나 아테네만이 제도를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이 민주주의는 "평등"이라는 한 가지 원칙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아테네의 정치가이자 시인이었던 "솔론"이 주장한 평등은 계급을 없애는 것이 아닌 노력한 만큼의 권리를 누려야 한다는 것이다.
책의 내용의 일부분을 설명해보자면 현재 우리나라는 민주주의를 따라 민주제를 실행중이다. 국민이 주권을 쥐고 평등한 세상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무조건적으로 좋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과거, 이런 민주주의를 경험한 몇몇 철학자들은 그 경험을 좋아하지 않았다.
나는 책에서 아테네의 민주주의가 가장 인상깊었기에 이를 위주로 글을 서술했다. 하지만 이 책 "쉽게 배우는 민주주의"에서는 로마, 미국, 프랑스, 대한민국등 나라들의 이야기, 고대~현대까지 시대별 이야기도 등장한다.
많은 사람들이 왕이 나라를 지배하는 공화정 체제에서 국민이 나라를 다스리는 민주주의로 나아가길 원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거 여성들의 참정권이 대부분 보장되지 못했는데, 오늘날의 보통선거는 성인이라면 성별에 관계없이 투표할 수 있다. 이는 현대 민주주의가 발전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또, 공화정 체제일 때는 실현시킬 수 없던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행위도 시위를 통해 할 수 있게 되었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며 시위가 국제법으로 인정된 권리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개인적으로 인상깊었던 책의 마지막 문장은 "시민들의 정치 참여율이 높아진다면, 이상적인 한 걸음 더 가까워 질 것이다."라고 서술되어있다. 인상 깊었던 이유는 뉴스에서 선거 참여율이 낮아졌다는 기사를 본 적 있기 때문이다. 지금과 같은 민주주의의 형태를 갖추기 위해 많은 사람들의 희생과 노력이 존재했다는 것을 알아줬으면 한다. 우리에게 주어진 귀한 권리를 활용할 줄 아는 사람이 되었으면 한다.
책의 수준이나 추천 연령대에 대해 이야기 해보자면, 초등학교 고학년~성인까지 읽어도 좋을 듯 하다. 본인은 고등학생임에도 책을 읽고 분명하게 얻어가는 게 있었기에 연령에 관계없이 한 번 쯤 읽어본다면 도움이 될 것이다. 글의 폰트도 작은 편이 아니라서 가독성도 뛰어났고, 읽는 내내 지루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