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린 꽃 시산작가선 7
이용환 지음 / 바른북스 / 2019년 3월
평점 :
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갈대숲이 우-우 우는 것은 / 이용환

 

바람 부는 날

갈대숲이 우우-우 우는 것은 세상의 작은 비밀을 알고 있어서라 합니다

바위나 숲, 나무 같은 것은 마치 눈과 귀가 없는 것같이 편안함이 느껴져

세상 고민이 많은 사람들 저마다 찾아와

세상 소문 같은 것, 정치적인 비밀 같은 것, 심지어는

자신의 비밀에 관하여 발칙한 말들을 갈대숲에 남기고 떠났기에 갈대숲은 귀를 닫고 피할 길이 없어 우우- 울었다는 겁니다

 

 

  시인의 일은 갈대와 같다고도 하겠습니다. 태초에 하늘과 인간을 이어주던 매개자가 시인이었다면 그 이후 인간사회에서 약하거나 슬픈 인간을 대리하여 노래하고 울고 분노하고 슬퍼하는 것이 시인이었습니다.

 

  현대사회에서 예전 시인의 역할은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시인은 대상을 새롭게 보고 자기만의 방법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누구를 대신하여 아픔을 노래하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새롭게 보고 새롭게 표현하기에 일반 대중과는 괴리감이 발생합니다.

 

  시의 효용은 소통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시가 문자를 매개로 자기의 감정과 생각을 전달하는 문학의 한 양식이라면 시인의 시는 소통에 있어서는 목적을 달성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살아오면서 꽃을 탐한 적은 별로 없는 것 같’다면서 수선화, 목련, 벚꽃, 진달래, 아카시아, 산목련, 달맞이꽃, 도라지꽃, 해바라기, 망초를 노래하고 그 꽃에 어린 사람을 그리워하는 것이 그렇습니다.

 

  그럼에도 시인도 '일은 저질렀지만 부끄럽'다고도 했습니다. 어떤 일이든, 하물며 인생이나, 그 인생을 대변하는 책을 펴내는 데는 아쉬움도 많겠지요. 당시에는 최선이었는데 살아오면서 축적된 경험과 지혜의 눈으로 보면 과거는 늘 부족한 것이 당연함에도 말입니다. 다음에는 더욱 더 좋은 시집을 기대합니다.

 

  세종 집에서 책을 가져온 날이 4월 14일, 일별하고 다시 읽은 게 4월 21일입니다. 청주-세종-원주-군포 거쳐 김포에서 제주로 내려오는 비행기 안에서 세 번째 읽고 졸가리는 잡았지만 술한테 시간을 양보한 탓에 간략하게 썼습니다. 총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