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사랑할 용기 - 인간관계를 둘러싼 88가지 고민에 대한 아들러의 가르침
기시미 이치로 지음, 홍성민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움받을 용기에 이은 기시미 이치로의 책.

아들러 심리학의 핵심을 일상에서 활용해보는 기시미 이치로의 즉문즉답

나를 사랑할 용기를 만나보았다.

 

 

 

 

 

 

 

아들러 심리학의 열풍을 일으겼던 기시미 이치로의 미움받을 용기.

 

이번 나를 사랑할 용기에서는

친구관계, 취업의 어려움, 직장스트레스, 연애, 결혼, 육아, 가족과의 갈등, 나이듦등

살아가면서 누구나가 겪을수있는 문제에 대해 아들러 심리학의 관점에서 답하고 있다.

 

일상에서 만날수있는 좀더 구체적인 88가지의 사례들을 통해 해법을 제시하고 있어

아들러 심리학을 조금 더 쉽게 이해하고 실생활에 적용하기도 좋았던것같다.

 

  

당신은 '자신'를 좋아합니까? 라는 질문을 받게 된다면 어떻게 대답을 할것인가..

 

이 책의 저자인 기시미 이치로도 사람들을 만날때마다 이 질문을 한다고 하는데..

"예'라고 대답하는 사람은 거의 보지 못했다고 한다.

 

나 역시도

솔직히 '예'라는 대답을 할 자신은 없다.

 

대부분이 거의 반사적으로 "아니요"라고 대답하는 이유는 스스로에게 자신이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우리는 스스로 사랑할수없는 이유를 찾고, 마치 그 이유가 정답인냥..

내가 할수있는건 없다며

어쩌면 문제의 본질뒤에 숨어 있는것은 아닐까..

 

 

 

 

 

 

 

늘 나는 왜 이럴까. 나만 왜 이렇게 사는걸까..하는 생각을 하는 나.

 

그렇기 때문에 나 자신을 사랑하느냐는 질문에 선뜻 그렇다는 대답은 할수없었다.

 

자신을 사랑할수없는 이유,

 문제의 원인을 많은이들이 과거의 경험이나 선천적인 것에서 찾고 있다고 한다.

내탓, 현재의 나의 무언가가 잘못돼서 일어난 일이 아닌, 과거의 어떤 일, 남의 탓, 사회적원인등

외부적요인에서 그 원인이 있다고  생각하면

일단 안도감이 들기때문이라고 한다.

 

 

나를 사랑해야 함을 알면서도 나를 사랑할수없는 이유.

 

어떤 결과를 정당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자신을 사랑하지 않기로 마음먹었기때문이다.

 

 

 

 

 

 

 

가장 중요한것은 바로 '앞으로 어떻게 할까'라고 말하고있다.

 

문제가 무엇인지 알고 있지만 내가 바꿀수있는것은 없다고 생각한다면 어떤것도 변하지 않는다.

내가 바꿀수있는것을  바꾼다면

나를 더 나은사람, 더행복한 사람으로 바꿀수있고..

이것이 바로 나를 사랑하기 위해 필요한 한걸음이라는것을 책을 통해 생각해보게 된다.

 

 

 

 

모든 고민은 인간관계에서 비롯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우리는 살아가면서 타인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고 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타인의 의견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혼자 힘으로 정할수없거나 그에 따르는 책임을 지고 싶지 않기 때문일것이다.

 

하지만 내 인생은 다른 사람이 아니라 바로 나의 것이다.

남의 말에 따라 행동한다면 책임이 조금 가볍다고 느낄수도 있다.

나쁜 결과가 예상됨에도 체념하듯 받아들이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내인생을 내가 결정하고 살아가는 것이 아닌 다른사람의 인생을 사는것인데 말이다.

 

우리는 대부분 자신이 어른이라는 생각을 한다.

하지만

스스로 무엇을 결정하지 못하면 어른이 아니라고 책에서는 말하고 있다.

 

어른이 된다는 건 자신의 과제를 스스로 해결할수있는것이다.

자신은 절대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중심에 있는것이 아니고,

타인은 자신의 기대를 만족시키기 위해 존재하는거이 아니라는 사실을 아는것이다.

-본문 39쪽중

 

 

 

 

자신에 대한 자존감이 없는 사람은 오히려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자신을 드러내고 자랑하기를 즐기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가만히 있으면 인정받을수없다고 생각하기에

자신감이 없는 사람들은 자기자랑을 해서

자신이 위에 서고 다른사람을 자신의 아래에 두어 우월함을 자랑한다.

때로는 주변사람이 눈살 찌푸려질정도로..

하지만 이런 사람들은 오히려 열등감이 너무 지나쳐서 이런 행동이 나오는것이라고 한다.

 

 

진짜 뛰어난 사람은 자신의 가치를 자랑하거나 증명할 필요가 없다.

 

 

 

 

결혼을 하기전엔 미처 몰랐던 상대방의 모습들이

결혼을 하고 나서는 하나둘 보이게 되고..

이런것들이 때로는 결혼생활에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기도 한다.

 

 

결혼을 하고 상대방이 변했다기 보다는

결혼전이나 지금이나 상대방은 변함없는데..

달리진것은 나 자신의 감정일지도 모른다.

 

 

 

 

 

 

 

 

아들러는 인간관계 속으로 들어갈 용기는

 자신에게 가치가 있다고 느낄때 가질수있다고 말하고 있다.

 

자신에게 가치가 없어서 자신을 사랑할수없는것은 그 누구의 탓도 아니다.

나 자신이 인간관계 속으로 들어가지 않기 위해 사랑하지 말자고 결심했기 때문인것이다.

 

 

사람은 자신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된다고 느낄때 자신에게 가장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한다.

 

 

 

 

 

 

 

인간관계는 때로는 고민과 고통의 원천이 될수도 있지만

행복 역시 타인과의 인간관계를 통해서 얻을수있기에

 

우리는 인간관계 속으로 뛰어들 용기를 가져야 한다.

 

모든 문제의 중심에는 사람이 있고

인간관계 속에서 상처받고 무너진 자존감을 회복하지 않으면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할수없기때문이다.

 

변화는 원하지만 용기가 없어서 제자리에 머물고 있는 우리에게

저자는 나를 사랑할 용기를 가질때

타인과 관계되는 고민을 해결하고

우리인생을 변화시킬수 있는것임을

책을 통해 다시한번 생각해보게 해준다.

 

모든 이들에게 인정과 사랑을 받고 싶어하기 때문에

행복해지기 어려운 현대인들..

타인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 자립하려면

자신을 사랑할줄 알아야함을 알려주는

나를 사랑할 용기.

 

내가 행복해야 남도 행복하게 해줄수 있는법.

 

 

자신의 가치를 스스로 결정하고 

진정한 어른으로 거듭나 행복해져야겠다.

 

그 누구를 위해서도 아닌..나 자신을 위해서..

 

사랑할 용기는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