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koooo > [후기]나의 개념깨고 나오기 한발짝

선생님께서 그러셨죠? 

이미 개념을 깬다는 것에 발을 들여놓는다면 더이상 똑같이 살순 없을거라고요(제가 이해한 것은 이랬습니다..) 

아마 제가 그리 될 것 같습니다.  

그동안 눈멀고 귀멀어 못보고 못들었던 것들이 그 짧은시간 강의를 통해서 자꾸 보이고 들리기 시작하니까 말입니다.  

생각해보면 언제부터인가 어렴풋이 느끼긴 했던 것 같습니다.  

이건 아닐지도 모르겠다. 이건 좀 이상하긴 한데 하면서도 다들 이렇게 하니까 그냥 해야지.. 하며 넘겼던 것들이 사실은 절대진리는 아니라는 것을요.. 하지만 의문을 가지면 안될것 같은 묘한 죄책감에 그냥 억누르며 살았었는데 그럴필요가 전혀 없다는 것(아예 부정을 하라 하셔서 아주 용기가 많이 났습니다) 을 느끼는 순간 숨이 확 쉬어졌습니다.  

생각해보면 전 대학졸업전까지는 반골기질이 다분한 사람이었는데(전공도 사회학입니다)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 여자다워져야하고, 회사원다워져야하고, 아내다워져야하고, 딸다워져야하고 나이값을 해야하고 등등의 굴레에 점점 갖혀버려 이젠 제 스스로 옴짝달싹 못하고 있는 수준까지 가게 된 것 같습니다.  주변사람들의 기대와 요구에 맞춰 사느라 저 자신을 제대로 돌보지 못해 착하고 일잘하는 괜찮은 사람이라는 허울좋은 이름에 묶여 허덕대고 있는 제 모습을 명확하게 볼 수 없었습니다. 그저 조금 버겁다는 느낌 정도 였는데... 그렇게 사는게 (다행인지 불행인지) 저에게 맞지 않는 방식이라는 것을 무의식중에 느껴서였는지 이렇게 인문학이라는 분야에 관심도 가지게 된 것 같습니다.  

사실 저는 들뢰즈나 푸코같은 사람들은 잘 모릅니다. 재현이나 사유라는 말도 사실 평소생활에선 사용할 일이 없고요.(저의 지인이나 회사 사람들에게 이런 이야기를 하면.. 다들 제가 어디 아프다고 생각할겁니다. 아마도.. ) 이렇게 문외한인 저 조차도 다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시고 저 자신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해주신 선생님꼐 정말 감사드립니다.  수원에서 홍대까지 그것도 붐비는 금요일에 다닌다는 것이 너무 무모한 결정이고 욕심이 아니었나 고민했던 순간들을 다 날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강의 들어가기 전 반밖에 못 읽었던 호모아르텍스 오늘 내로 다 읽어치우고 진짜 교재를 붙잡아야겠습니다.  

 다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