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비를 찾아서 - 전 세계가 감동한 사막의 마라토너와 유기견의 경이로운 우정
디온 레너드 지음, 이지혜 옮김 / 옐로브릭 / 2018년 12월
평점 :
절판


마라톤 또는 애완동물에 관심이 있는 사람 뿐만 아니라 인생의 경주를 달리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잠시 숨을 고르며 읽어볼만한 책이다. 출퇴근길 지하철에서 읽기에도 부담스럽지 않을 정도로 줄줄 읽히는 책이지만, 결코 가볍지 않은 울림을 던져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비를 찾아서 - 전 세계가 감동한 사막의 마라토너와 유기견의 경이로운 우정
디온 레너드 지음, 이지혜 옮김 / 옐로브릭 / 2018년 12월
평점 :
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저자 디온에 따르면 250km 울트라 마라톤을 달릴 때 마라토너는 마지막 10km를 전력으로 질주하며 레이스를 마친다고 한다. 마치 울트라 마라토너가 된 듯 홍수 같은 업무를 갈무리하며 2018년 마지막 일주일을 내달리고 있을 때 예상치 못하게 이 책이 내 손에 들어왔다. 갑작스레 고비가 디온의 사막 레이스에 뛰어든 것처럼...

처음엔 분주한 연말이 지나고서야 제대로 읽을 수 있겠다 생각하며 가벼운 맘으로 한 두 장 책장을 넘겼다. 그러나 어느새 이 책은 가장 바쁜 일주일을 보내면서도 손에서 놓기 어려운 출퇴근길 동반자가 되어 있었다. 마치 고비가 디온의 사막 레이스의 러닝메이트가 되어버린 것처럼...

하찮을 수 있는 강아지 한 마리로 인해 디온의 삶은 변한다. 경주에서의 승리는 무의미해지고, 난관에 처한 경쟁자를 도울 수 있게 되고, 아픈 과거에서 비롯된 부정적인 정서 또한 교정되기 시작한다. 인생이란 혼자 살아가며 버틸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수많은 관계들로 인해 지탱되는 것임을 발견한다.

2018년 마지막 일주일을 전력질주하던 중 나는 무엇을 위해 이리 분주하게 살고 있는지 이 책을 통해 잠시 돌아본다. 내가 스스로 해낸 것처럼 여겼던 많은 일들이 사실은 나와 관계 맺는 수 많은 사람들의 도움 속에서 가능했음을 기억한다. 경쟁에서 이기고 나 혼자 빨리 달리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님을 다시금 깨닫는다. “빨리 가려면 혼자 가고,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는 아프리카 어느 나라의 속담에 고개가 끄덕여진다. 2019년 새해에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그렇게 살고 싶다.

언젠가 포털 기사에서 스쳐 지나듯 읽었던 이야기였는데 책을 통해 보다 자세한 앞뒤 얘기들을 읽을 수 있어 반가웠다. 역시 기사보단 이야기가 마음에 더 와닿는다. 처음엔 마라톤 또는 애완동물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만 감동을 줄 수 있는 책일거라 생각했다. 그건 말 그대로 선입견이었다. 정신 없이 인생의 경주를 달리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잠시 숨을 고르며 읽어볼만한 책이다. 출퇴근길 지하철에서 읽기에도 부담스럽지 않을 정도로 줄줄 읽히는 책이지만, 결코 가볍지 않은 울림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은 가도 사랑은 남는다 - 삶과 죽음에 관한 김영봉의 설교 묵상
김영봉 지음 / IVP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례식은 내게 가장 어려운 자리였다. 고인을 애도하고 유족을 따뜻하게 위로하고 싶은데, 어떤 말, 어떤 표정, 어떤 태도로 그들 앞에 서야 할지 막막했다. 그래서 그저 꽉 다문 입, 그윽한 눈빛으로 유족들과 눈을 맞추고 뭔가 알고 있다는 듯 말 없이 몇 차례 고개를 끄덕이는 것이 전부였다.

애도와 위로에 대한 단순한 도움을 얻고자 집어 든 <사람은 가도 사랑은 남는다>. 얇고 가벼운 이책을 통해 죽음에 대한 굵고 묵직한 배움을 얻는다. 단지 고인의 삶을 돌아보는 태도, 그리고 유족들을 위로하는 지혜를 배우는 것을 넘어서, 우리 삶에서 죽음이 갖는 깊은 의미까지 찬찬히 되새기게 된다.

미래의 죽음에 대한 고민은 자연스레 현재의 삶에 대한 반추로 나를 이끈다. 누구나 맞이해야 하는 죽음. 그 죽음을 준비하며 나는 어떤 삶을 매일매일 살아가야 하는가? <사람은 가도 사랑은 남는다>의 부제가 단지 “죽음에 관한 설교묵상”이 아니라 “삶과 죽음에 관한 설교묵상”인 이유가 충분히 이해된다.

출퇴근길 지하철에서도 쉬 집중해서 읽을 수 있을만큼 16편의 설교문이 매우 간결하면서도 감동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지하철에서 가볍게(?) 읽고 책장에 꽂아두기엔 많이 아까운 책이다. 책상머리에 놓아두고 아주 긴 호흡으로 천천히 반복해서 읽어볼만한 가치가 있는 그런 책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