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나무 생각하는 숲 18
김향이 글, 한병호 그림 / 시공주니어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입학전에 필수도서라는 명목으로 읽었던 국내창작동화들이 많이 있다.

아이들의 정서에도 도움이 많이 되는 책들이였는데

그때 읽었던 동화 한편을 시공주니어 생각하는 숲 시리즈에서 다시 만났다.

 

사랑나무.

 

나무들도 서로 위하고 마음을 나누며 어울려 사는 것 처럼

사람들도 조금씩 양보하고 배려하고 이해하며 사랑하는 세상이 오길 은유적으로 말해주는 동화 같았다.

 

 

 

 보는 이마다 아낌 없는 칭찬을 해주던 수목원의 곧게 자란 소나무.

 그 옆에 아가 등나무 줄기를 넉넉한 마음으로 받아주었다.

허나 등나무란 존재는 남에게 기대서만 살아갈 수 있는 존재.

 


처음에는 인사성 바른 등나무를 싫어하지 않았지만

점점 몸이 갑갑해지자 소나무는 등나무가 떠났음 싶었다.

하지만 등나무는 꽃도 많이 피우고 자기 잘 난 맛에 살기 시작했고,

소나무는 정말 죽을 만큼 힘들어지자 등나무와 사이가 더 나빠졌다.

 

사실 이때 등나무도 제 잘난 맛에 살던 때인지라

차라리 소나무가 목숨을 내 놓기를 기다리기나 하고 말이다.

 

 

마침내 등나무가 바란대로 소나무는 시름 시름 앓다가 목숨을 놓았다.

등나무는 속이 시원했다.

하지만 그도 잠시.

외로움이 밀려왔다.

 

계절이 바뀌고 시간이 흐르자 소나무는 모두의 집이 되었다.

자기 몸을 내주고 더 많은 이웃의 보금자리가 되었다.

 

등나무는 언젠가 자신도 그렇게 목숨을 내놓고 숲의 일부가 되어야 함을 그제서야 알게 되었다.

그리고 잘못된 마음을 인정했다.

 


 시간이 더 흐른 후 아기 소나무를 살리기 위해 다시 등나무 줄기를 감았던 등나무.

대를 이어 연리지가 되었다.

서로 다른 나뭇가지끼리 엉켜 마치 한나무처럼 자라는 현상인 연리지.

그래서 이 나무는 사랑나무가 되었다.

 

 

우리가 사는 요즘 세상.

각자의 입장만을 내놓고 서로 으르렁댄다.

물론 약자도 있고 강자도 있다.

무조건 약자만을 위해 제도나 법이 변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함께 살아가는 세상에서 조금더 가진 자가 배려하고 이해한다면 어떨까 싶은 마음이 크다.

사랑나무는 동화지만 역시 생각할 꺼리를 제공한다.

이 시대에 진정한 화합과 공존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말이다.

 

 

아이들 또한 짧은 동화 긴 생각을 생각하는 숲을 통해서 경험하게 된다.

아이들과 부모님이 함께 읽고 생각을 나누기에 좋은 책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