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 상식사전 - 대한민국 No.1 취업멘토가 알려주는 ‘한국형’ 이직 매뉴얼!
문병용 지음 / 길벗 / 2012년 10월
평점 :
절판


 

 

요즘 직장인들은 기본으로 이직을 생각하고 있고,

마음속에 사직서를 품고 다닌다는 글을 본 적이 있는데요,

'내가 더러워서 그만두고 말지'라고 생각을 하는 직장인들이 꽤 많다고 하던데

그런 생각을 하더라도 이직이 맘처럼 쉽지만은 않은 게 현실이라고 들었어요.

 

 

 

그래서 위의 말처럼 이직을 꿈꾸며

하루에도 회사를 그만둘까 말까 몇번씩 망설이시는 분들이 많을거라 생각해요.

 

  

아니면 위와 같은 문제로

고민만하다 고민이 고민을 낳게 되어 머리만 아프신 분들도 많을텐데요,

이 책이 그런 애로사항들을 풀 수 있는 열쇠가 되지 않을까 싶어요.

 

직장인이면 누구나 한번쯤은 해봤을만한 고민들에 대한 답을

그동안 저자가 경험하거나 봐왔던 것들을

사례를 들어 풀어 나갔기 때문에

'이렇게 해!' 라기 보다는 '이렇게 해결하는 게 좋을 것 같아' 라는

방향을 잡아주기 때문에 내게 맞는게 어떤 것일지에 대해

스스로 진단해보고 풀어나갈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 아닐까 싶어요.

 

전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취업준비생인지라

이직을 생각하는 건 아직 멀기만한 일이라서 생각해보지 못했지만,

책을 읽어보니 '이직을 준비하시는 경력직 구직자 분들껜

어떻게 하면 성공적으로 이직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가이드 라인을 잡아줄 수 있는

하나의 설명서가 되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보통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신입 구직자들을 위한 면접 팁이나 자소서 팁을 제시해주는 책들은

서점이나 까페 또는 코칭 서비스 업체에서 책으로 제작해 구매 하는 등의 방법으로

전보다 더 접하기 쉬운 부분이 많이 있지만,

이직을 준비하는 경력직 구직자들을 위한 책이 별로 없기 때문에

경력직 구직자에겐 이만한 가이드 라인이 따로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첫 직장을 구할때도 보면 본인이 하고 싶은걸 스스로 찾아서

구직활동을 하고 취업하시는 분들이 대부분이지만,

자신이 어떤걸 하고 싶은지 몰라서 또는

취직을 하고 보니 이 직무는 나에게 맞지 않는다고 판단이 될 경우,

가장 많이 상담하는 사람이 대부분이 부모님 그 다음이 친한친구

그 후엔 아는 선배나 지인 등 이라고 해요.

 

그래서 제일 먼저 부모님, 친구에게 물어보고

그들이 조언해주는 대로 따라가는 경우가 신입이던 경력직 구직자던지간에

그 의견대로 따라 가는 경우가 많은데,

부모님에게 상담했을 경우는,

부모님은 내 자식이 힘든걸 볼 수 없으니 정 힘들면 옮겨라,

난 널 응원한다라는 말을 듣는 경우가 많고,

부모님이나 친구 모두 현재 나의 직무가 구체적으로 무슨일을 하는지 잘 모르거나

동종업계에서 근무한 경험이 없기때문에 그 의견대로 따라갔다 후회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더라구요.

 

그치만 이 책은 위와 같은 오류를 범하지 않을 수 있도록

첫 직장보다 신중해야함을 책이라는 도구를 통해 경험을 예로 들어

인생 선배 입장에서 조언해주니 말할 나위 없이 좋아요.

 

 

또 이직은 보다 더 나은 조건으로 가기 위한 전환점이기 때문에

외국계 회사로 이직하려는 분들도 많으실테니

영문이력서 쓰는법도 소개되어있어서

좋은 환경의 직장으로 이직하기 위해

어떻게 준비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 기준을 제시해 주고,

 


이력서, 자기소개서 쓰는법 뿐만 아니라

면접이나, 이직 후 이직한 회사에서 어떻게 인정받을 수 있는지와

이직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연봉협상 뿐만 아니라,

 

 

연봉 협상 외에 인센티브 등 다른 조건들과

이직 후 회사에서 좋은 이미지를 구축해 나가는 방법 등을 알려주는

중간중간의 Tip과 따로 주제로 소개 되어있어

꼭 나중에 이직을 하지 않더라도

책에서 소개된 부분을 회사생활에 적용하면 유용할 것 같아요.

 

 

 

그러니 저자의 책소개 동영상의 저자의 말처럼

꼭 이직을 조장하는 것이 아니라

이직을 원하는 분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경력직 구직자분들께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아요.

더이상 망설이지 말고 꿈을 위한 나무에 물을 줄 수 있는 기회를 잡으실 수 있길 바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