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 잔혹사
이충섭 지음 / 청림출판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반기 취업시즌이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면접이나 적성검사 등을 준비하는 내용들을

요즘 자주 접하게 되는데요.

 

취업의 최종 문턱으로

누군가에겐 희망과 기쁨을,

누군가에겐 쓰디 쓴 좌절을 안겨주는 것이

바로 면접이 아닐까 싶어요.

 

그만큼 구직자에겐

피할 수만 있다면 피하고 싶은 긴장되고 떨리는 순간이 되기도 하고,

면접관에겐

회사에 맡는 인재를 찾는 중요한 자리가 되죠.

 

'면접은 답이 없다'라는 말이 있는 이유도

아마 이때문이 아닐까 싶어요.

 

서류는 항상 통과하지만

마지막 문인 면접에서 면접관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날 잘 봐줄지 고민하며 긴장하다 항상 쓰디쓴 고배를 맛보는 구직자에겐

이 책이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어요.

 

 

저 역시도 수많은 취업 준비생 중 한명이다보니

기업에 지원을 할때 면접이나 자소서를 어떻게 해야할지, 그리고 면접관님이 어떻게 보실지가 가장 걱정되는데

대기업에서 면접관을 17년 간 진행해오신분이 쓰신거라 어디에 중점을 두면 좋을지 알 수 있어서 좋더라구요.

 그리고 인사팀에서 일하고 싶은 한사람으로써 그 분야에 종사하고 계신 분들의 시선과 마인드는 어떤지,

현직에서 근무하는 분들의 고충과 현실을 느껴보고 싶었었는데

이 책을 통해서 처음 알게 된것 같아요.

어느 회사의 인사팀에서 근무해 본 적은 없지만

HR 토탈 서비스 회사에서 짧은 기간이지만 옆에서 느껴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는데

저는 그분들이 일하시는 모습 중 일부만 보았기 때문에

현직에서 근무하시는 분의 이야기로 제가 보지 못했던 부분들을 간접경험 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신기하기도하고 꿈꾸던 일이어서 그런지 부럽기도하고 그렇더라구요.

책을 다보고 난 후 저도 당당히 인사팀에 들어가

꼭 저자분처럼 제가 경험한 것들을 후배들을 위해 알려주고

그들에게서 배우며 함께 하는 모습을 그려보기도 했어요. 

 

 

입사지원서의 자기소개서를 쓸때마다 항상 나오는 질문들이 있는데

그런 질문들에 어떻게 답변을 하는 것이 좋을지

항상 몇시간 며칠씩 고민하게 되는데

쓰다보면 항상 비슷하게 써지고 너무 평이한것만 같고

정말 머리 아플때가 많아요.

 

 

그래서 '위와 같은 이야기를 하는 게 더 좋은가'라는 생각에

쓸까말까 고민하다가 비슷한 말을 쓰기도 하는데,

면접관의 입장에서 이런 말은

면접관에겐 어떻게 느껴지는지 면접관의 입장을 말해주고

어떻게 쓰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서 팁을 얻을 수 있었어요.

저에겐 일침이 되어 뜨끔하기도 하고 제가 뭘 잘못했는지

저의 부족함이 무엇인지를 다시 한번 짚어보고,

구직자와 면접관의 시각의 차이도 느낄수 있었어요.

 

  

또 구직자라면 한번쯤은 자소서나 면접을 준비하면서

숨기고 싶은 이야기가 있을 때는 어떻게 해야할지

난감함을 느껴보셨을텐데

그런 것들을 어떻게 잘 풀어나가

숨길 것이 아니라 그것 역시 자신을 PR할 수 있는 기회로 만드는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도 깨닫게 되었구요.

 

  

중간 중간 있는 이런 팁들도

기업들의 의중이나 원하는 것이 다시한번 느끼게 해주었어요.

 

저자께서 소개한 이 부분에 대한 내용을 보니

학교를 다닐때 인적자원관리 시간에 교수님께서 말씀해주셨던 비슷한 내용의 말씀이었는데,

취업의 문이 좁아서 경쟁률이 높다보니

누구나 다 자신은 리더십이 뛰어남을 강조해

어떻게든 돋보이려고 하지만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는 옛말도 있고,

구성원 모두가 리더십이 뛰어나다면

자신의 리더십만을 내세워 일이 제대로 성사될 수 없어

기업에선 10%미만의 리더십이 있는 경영층과

나머지는 팔로워를 더 선호한다고 말씀했던 기억이 나더라구요.

그러니 내가 리더십이 없는 사람이라고 해서

좌절하고 낙담하지 않고

소신있게 자신의 장점을 내세우면 된다고 말씀하셨는데

저자분께서도 똑같은 말을 쓰셔서

비슷한 시각을 갖고 있다는 걸 느끼기도 했어요.

 

 

흔히들 '면접관은 그냥 사람만 뽑으면 되는데

그사람들이 힘들게 뭐가있어?' 라고 생각하기 마련인데

 면접을 잘하는 비법이라던지 자소서를 쓰는 방법 등을 알려주는 책에서 나오지 않는

면접관은 어떤 일을 하고, 고충은 무엇인지 알 수 있도록 면접관의 입장을 잘 소개한 점이

구직자와는 다른 입장에서 생각해보고 기존의 생각들을 바꿔주는 계기를 마련해주기 때문에

이런 점이 이 책의 큰 장점이 아닐까 싶어요.

 


 그런점은 책의 맨 마지막 부록인 성공한 자기소개서 모음에서도

잘 나타나있는데,

취업에 성공한 자기소개서 모음은 자주 봐왔지만

구직자의 입장에선

그게 어째서 잘 쓴 자기소개서인지 파악하기가 쉽지 않은데

이 책은 소개만 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왜 그러한지를 코멘트를 달아주어

쓰는 방법에 대한 팁을 얻을 수 있어서 좋았어요.

 


끝으로 스펙이 남들에 못미친다고

혹은 계속되는 실패속에서 좌절을 겪고 있는

저를 포함한 구직자들에게 주는 메세지는

저도 할 수 있다는 희망을 옆에서 심어주는 듯한 기분이 들어

꿈을 잃지 않고 도전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것 같아요.

 

저도 다시 자소서부터 꼼꼼히 점검해

저자처럼 인사팀에 들어가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꿈꾸게 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