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 투 커버 - 책 읽는 여자
로버트 크레이그 지음, 나선숙 옮김 / 문학수첩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타냐는 29살의 노처녀이다. 사실  요즘 세상에 무슨 29살이 노처녀란 말인가.. 말도 안되는 상황이지만 여튼 타냐는  사람들을 싫어하고 그녀를 걱정해주고 보살펴 주며 가까이 지내려고 하는 모든 친구들을 거부하는 노처녀 이다.

그래도 그녀 옆에 남아 있는 친구에게는 절교 편지까지 써서 부치는 고약함을 보여주고 자신을 사랑하는 남자 조차 그 사랑이 얼마나 위대한지 보고자 사랑 실험을 하다가 떠나보낸다.  집에서 오로지 책 읽는 것만 좋아하고, 읽을 책이 떨어지면 불안하고 초조해 하는 타냐에게 어느날  '가짜 종이꽃가루' 라는 책이 나타난다.  책의 주인공은 바로 타냐 자신이며 자신의 과거와 미래에 대한 내용이 나와 있다.

 

세상일을 다 시시하고 지루하며 사랑과 친구들은 믿을 수 없다면 오로지 자신만을 소중히 여기고 자신만의 시간을 가지며 행복하다고 살아왔던 타냐는 책을 읽으며 점점 혼란에 빠지고 자신이 틀렸음을 알게 된다.

9년 동안 기억속에서 사라지지 않으며 자신을 옭아 매고 있던 첫사랑 마틴을 다시 만나지만 그도 어린 시절의 추억일 뿐 현재는 기억과 다른 사람이란 걸 깨닫게 되고, 또 책의 과거 내용 때문에 엄마와 싸우고 그로인해 엄마가 수면제를 다량 복용하고 자살하게 되었지만 그 감정조차 제대로 표현 못하는 바보 같은 타냐.. 책을 읽는 내내 가슴이 너무 답답했다. 타냐는 왜그렇게  마음을 꽁꽁 닫고 자신만의 세계에 갇혀 살면서 괴로워 하고 있는 걸까? 그러나 정작 그녀는 그런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그녀의 남자친구도 알고 독자인 나도  그녀의 사고 방식이 잘못 되었음을 알고 있었지만, 타냐 자신만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고 보니 나자신.. 또 우리의 모습이 어쩌면 타냐와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을 읽는 내내 타냐는 왜이렇게 까다로운 걸까, 왜 사랑을 시험하려고 할까, 왜 사람들을 믿지 못할까, 왜 자신만이 옳다고 생각 할까.. 등등의 생각들이 결국은 내모습과 같은 것이었다.

 

책을 읽으면서 '아~ 나도 이렇게 내 미래를 보여주는 책이 있었으면 좋겠다'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면 무슨일을 해야하나 말아야 하나 망설일 때, 또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들 때 이 책을 보며 좀 더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을 텐데.. 하며 말이다. 그런데 타냐의 친구인 앨리슨은 우리에게 이렇게 말하고 있다.  미래를 알려주는 책이 있다면 끔찍할 것 같다고.. '젊음의 즐거움 중 절반 이상은 어리석고 바보 같은 실수를 하는 데서 생기는 건데, 그런 일 한번 없이 사는게 정말 좋은 걸까?' 라고 말이다.  하긴 그렇다. 정말 미래를 보여주는 책을 보고 그에 따라서 완벽하게 올바른 선택만 해서 실수 한번 안한다면 그에 따른 어떤 에피소드와 즐거움이 생기고, 또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겠는가! 우리는 인간이기에 실수하면서 배우고 자라는 것이다.

 

책의 결말은 혼자만의 시간만을 중요시 여기는 고집쟁이 타냐가 결국 그녀를 변함없이 사랑해 주는 칼에 의해 둘이서도 함께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는 것으로 끝이 난다. 책 속에서 '가짜 종이 꽃가루' 책의 결말은 여러번 바뀌었다. 우리 인생도 우리가 어떻게 생각하고 살아가느냐에 따라 그 길이 계속 바뀌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믿거나 말거나 2
리플리 엔터테인먼트 지음 / 보누스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믿거나 말거나 시즌 2는 현대의 마르코 폴로 라고 불리는 로버트 리플리가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수집한 기묘하고 비범한 이야기들로 이루어져 있다.  왕족과 귀족 이야기, 종교와 철학, 정부와 정치의 이야기부터 시작해서  식물 나무 곰팡이 이야기와 지질학과 자연 현상의 이야기등 다채로운 이야기들이 펼쳐져 있다.

믿거나 말거나 시즌 1을 읽어보지 않은 나는 이 책이 몇가지 주제에 대한 에피소드가 실려져 있는 이야기 인줄 알았는데, 책을 펼쳐 처음부터 끝장까지 휘리릭 넘겨 본 나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세계의 여왕 편에서는 사랑했던 남자들의 심장을 도려내어 지니고 있었다는 정말 믿거나 말거나 한 기이한 여왕 내용이 있는가 하면,  홍콩에서는 정력에 좋다는 이유로 뱀을 끓여 먹거나 담가 먹는다고 나와있는데 서양일들은 이 내용을 읽으면 '우웩~ 정말 믿거나 말거나 네~~!!" 하겠지만 홍콩인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사람들만 해도 '뱀을 술로 담가 먹는게 사실인데?' 하고 생각할 테니 참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또 계란 껍데기를 깨지 않고 계란을 세울 수 있는 방법 ( 계란을 손에 쥐고 미친 듯이 흔들어서 노른자를 터뜨리면 계란이 선다고 나와 있다.) 에 대해 읽은 뒤로는 나로 모르게 냉장고에서 계란을 꺼내 흔들고 있었다.

또 '가모포비아' 는 결혼하기를 두려워 하는 증세를 나타내는 표현이라는 우리가 잘 모르는 내용에 대한 사전적 의미의 내용도 들어있었다.

 수십가지의 주제에 대해 짧게는 2줄, 길어봤자 10줄 정도로 간략하게 수많은 이야기 들이 실려 있어서 정말 말 그대로 인류사 박물관을 훔쳐보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아니면 세계 기네스 북에 기록된 내용을 보는 느낌이랄까? 아니면 세계 상식 사전을 보고 있는 느낌이 들기도 했다.

이야기가 짧기 때문에 쉽게 금방 읽히고 많은 정보를 익힐 수는 있지만, 또한 그렇기 때문에 쉽게 잊혀질 것 같기도 하다.  왜 사람들이 그런 일을 했는지에 대한 언급과 또 각 사건의 전개가 있고 결말이 있다면  좀 더 인상깊고 오랫동안 기억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들었다.  수백 가지의 이야기들을 순식간에 눈으로 읽어 내려가면서 재미있는 페이지는 살짝 접어 표시해 두었다.

이렇게 몇가지의 에피소드를 외워놨다가 친구들한테 들려주면 아주 신선한 이야기 거리가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