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운터 컬처 - 복음과 문화가 충돌할 때
데이비드 플랫 지음, 최종훈 옮김 / 두란노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데이비드 플랫 목사는 래디컬이란 책으로 기독교계에게 강력한 도전을 준 분이다. 메시지에 타협이 없다. 있는 그대로를 전하기에 그 메시지는 새롭고 신선하기 까지 하다. 믿음을 적당히 교회나 오고 가는 것이 아님을 분명하게 밝히며 강력하게 도전한다. 이번 책, ‘카운터컬처또한 그 연장선에서 실질적인 문제들을 하나씩 헤집어 내면서 더 강력하고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도전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이 책을 읽고서 그 동안 나의 신앙 생활이 얼마나 외식적이고 알맹이가 없었는지 크게 반성했다. 마지막 세대에 플랫 목사를 통해 하나님은 강하게 말씀을 전하고 계시다는 생각을 했다.

우선 현실적으로 현대 문화가 선악의 기준을 바꿔가고 있다. 동성애는 당연한 개인적인 성적 취향이고, 이를 부정하거나 비판하는 자는 마치 인종 차별론자와 같은 수준의 반인류적인 자로 취급 당하고 있다. 그래서 법적으로 동성 결혼이 인정되기 시작했고, 심지어 많은 성직자들이 이를 인정하고 타협하는 모습을 공공연하게 보이고 있다. 결혼은 이미 그 의미가 변했다. 스마트폰의 보급과 미디어의 발달로 정말 너무나 손쉽게 포르노그래피에 노출되어 심지어는 초등학생에게까지도 노출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매년 42백만 건의 낙태가 자행되고 있다. 가난으로 인해 고통받는 자들, 특히 고아와 과부는 억압되고 있다. 그들은 사회적으로 소외되고 재기한다는 것은 꿈도 꾸지 못하는 세상이 되고 있다. 세상 여러 곳에서는 인신 매매가 성행하면 수 많은 어린 소녀들이 사창가에 팔리고 있다. 혼전 성교나 혼외 성교는 이미 평범한 이야기가 되고 있고, 당연시되고 있다. 드라마나 영화에서는 이미 이를 당연한 문화로 표현되고 있다. 미혼녀의 임신과 출산은 그저 개인적인 선택의 문제로 아무런 이슈가 되지 않는다. 인종 차별은 이미 오래 동안 이 세상을 아프게 하는데도, 여전히 세계 곳곳에서 갈등을 일으키고 있는 이슈다.

이러한 문제들은 그저 하나의 문화의 발달과 변화가 아니다. 그 근본을 파헤쳐보면 궁극적으로는 하나님에 대한 정면 도전이다. 낙태, 인신매매, 인종 차별 등은 하나님이 부여하신 생명의 존엄성과 동등성에 대한 부정이고, 결혼의 왜곡은 하나님께서 인류에게 주신 첫 제도를 부정하는 것이다. 결혼은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세상에서의 그림자다. 남편과 아내의 관계를 통해서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보이시는 것인데, 이러한 결혼의 의미를 부정하는 것은 하나님을 부정하는 것과 같다. 그냥 가만히 있으면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하나님 부정을 역으로 강요당하고 차별 당하는 상황이 되어 우리의 목을 옥죄어 오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성탄절에 ‘merry Christmas’ 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happy holiday’라고만 쓸 수 있고, 학교에서는 찬송가로 된 캐롤을 부를 수 없다. 종교를 강요할 수 없다는 법으로 인한 것이다. 하지만 반대로 생각해 보면 종교의 자유가 억압되고 있는 것이다.

이제 가만히 있으면 안되는 상황까지 왔다. 플랫 목사는 그리스도의 복음은 두려움에 굴복해 문화적으로 타협하라고 가르치지 않는다. 오히려 반문화의 십자가를 지라는 부르심이다.”라고 외친다. 더 적극적으로 사랑으로 행해야 한다. 그렇다고 낙태하는 사람, 동성연애자, 성매매된 소녀들을 향해 돌을 던져서는 안되고 사랑으로 보듬고 사랑과 복음을 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책을 읽고 많은 반성을 했다. 겉으로 신실해 보이는 종교인이 아니라 행함으로 열매 맺는 신앙인으로 거듭 나라는 하나님의 음성이 들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