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가 구속한 여성 - 성경적 남녀 관계와 여성 리더십
김세윤 지음 / 두란노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 교회 대부분은 남녀의 차이에 대해서 매우 보수적이고 차별적이다. 여성 사역자에게 목사 안수를 하는 것도 일부 교단에서 이제야 허용하고 있고, 대부분의 교단은 아직도 부정적이다. 당회의 구성도 남자 중심으로 되어 있고, 여성은 그 역할이 보조적인 면이 강하다. 이러한 왜곡된 교회 문화에 대해서 이 책은 성경을 근거로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결론은 남녀가 동등하다는 것이다.

특히 그리스도의 새 창조에서는 옛 창조 질서 속에서 불의와 불평등과 갈등과 압제와 착취와 굴종 등을 가져오는 인종적 구분, 성적 구분, 사회 신분적 구분이 다 없어졌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 나 역시 이 문제에 대해서 그다지 깊이 생각한 적이 없었다. 보수 교단에서는 남녀 차별적 입장을 갖고 있고, 진보 교단에서는 좀 더 평등한 개념을 갖고 있다는 것을 그저 보기만 했지 그다지 깊은 생각을 하지 않았다. 또한 가정에서 아비는 대제사장으로서 그 막중한 임무를 잘 감당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얼마나 무지했었는지 깨닫게 되었다. 그냥 막연하게 남녀는 평등하게 창조되었다는 생각을 해왔던 나는 좀 더 확실한 남녀 동등 개념을 이해하고 확신 하게 되었다

사도 바울이 서술한 고린도전서 11 2-16절은 여자들의 설교권을 박탈하는 것도 아니고, 남자가 여자의 머리임을 내세워 남자의 가부장적 리더십과 여자의 순종을 가르치는 것도 아니다. 오로지 공예배 시 여자들이 복장을 단정히 하고 기도도 하고 설교도 하라는 가르침만을 담고 있다.”고 한다. 당시 사회적 문화적 배경과 다른 곳에서 바울의 설교 등을 종합해서 해석해야지 국지거인 문자적 의미로만 해석하는 것을 경계해야 함을 주장한다.

참 놀랍다. 예수님의 남녀에 대한 가르침을 보면 동등하고 평등함이 분명한데, 교회가 아직도 문화적, 문자적 해석에 머물러 기본 정신을 이해하지 못하고 왜곡하고 있다는 점이 놀랍다. 아내와 교회에서 여성도들, 그리고 주변 여성 분들에 대한 내 시각을 바꾼다. 좀 더 존중하고 배려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