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정의
아키요시 리카코 지음, 주자덕 옮김 / 아프로스미디어 / 201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정의 앞에 우선되는 것은 없으며, 이 세상은 정의에 의해 존재한다." -소크라테스-

네 명의 여자들에게 도착한 고급스러운 초대장.
자신들이 5년 전에 죽였던 '정의의 몬스터'인 노리코에게서 온 그 초대장을 바라본 그녀들은 모두들 하얗게 질려버린다.
왜 그녀들은 가장 친하게 지냈던 고교시절의 동창인  '절대정의'의 신봉자였던 노리코를 죽였을까?
그리고 이미 죽은 그녀의 이름으로 온 초대장은 무엇이란말인가?
추리소설 특유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며, 책은 각자 네 명의 여인들과 노리코와의 인연부터 시작한다.

고등학교 때 전학 온 다가키 노리코. 아이같이 않은 훌륭한 아이, 모범적인 아이라는 칭찬을 달고 있는 그녀에게 가즈키, 유미코, 리호, 레이카는 우정이라는 이름으로 손을 내밀었고 그들은 학창시절을 보냈다. 그 시절부터 노리코는 정의의 히어로였다. 학교의 규율을 어기는 것을 용납할 수 없었고, 그 범주에 친구든 교사든 상관없었다. 법규를 어기는 불법 앞에서 무조건 신고만이 정의 실현의 길이고 정의를 실현할 때 그녀는 황홀한 눈빛을 반짝인다.

어른이 되어 다시 만난 그들은 모두 각자의 이유로 노리코에서 도움을 받기 시작한다. 하지만 노리코의 그런 행동들은 결코 우정이나 연민, 사랑의 감정이 아니다. 그저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두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노리코의 모든 행동은 오로지 정의 때문이며, 정의를 위해서다.

정상적인 사람이 바라보는 시각이 아닌, 오로지 법률의 저촉 여부로 만 세상을 바라보는 노리코. 그렇다고 그녀의 시각이 틀린 것은 아니었기에 주변의 사람들은 그녀 때문에 모두 궁지에 몰리고 만다.

 

모든 것이 결국엔 정의로 귀결되어 인간에 대한 기본적 동정심과 연민 없이 너무도 당당한 사람이 어쩌면 이토록 끔찍하고 소름 끼칠까? 노리코가 사람을 해한것도 불법을 저지른 적도 없지만, 상대를 가리지 않은 융통성 없고 배려 없는 정의 관념은 어떤 사이코패스보다 무섭고 소름 돋았다.
정의의 껍데기를 안고 평생을 살았던 어찌 보면 편집증 환자 같았던 노리코는 정의 속에 포함되어야 할 기본적 도덕적 관념이 결여된 정신적으로 아픈 인간이었던 것 같다.
하지만 반면 그런 그녀의 행동이 나에게 유리할 때, 나의 고통을 덜어줄 땐 정의의 이름으로 옳고 당연하고 뿌듯해했지만, 나에게 피해가 오기 시작하면 정의의 탈을 쓴 몬스터라며 죽이고 싶어 하는 인간의 심리는 또 어찌 설명해야 할까?

주인공인 노리코가 이미 죽었고 회상의 형식으로 진행되는 소설은 추리 소설임에도 이미 결론을 다 보여주고 시작한다. 그럼에도 친구로 등장하는 인물들과의 틀어지는 관계의 과정들이 너무도 흥미진진했고, 마지막 예상치 못한 깜짝 반전까지. 패를 다 보여주고 시작하는 추리 소설이 이렇게 궁금하기도 처음인 것 같다.
잔인한 장면하나 없이 그 흔한 정의란 말로 오히려 사람을 공포스럽게 하는 책 일본추리소설 '절대정의'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