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사상들
윌 듀런트 지음, 김승욱 옮김 / 민음사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대했던 것만큼은 아니었다. 크게 6항목으로 작가가 생각하는 위대한 사상가들, 시인들의 리스트와 교육을 위한 최고의 책들, 세계사의 결정적인 연도 등으로 나눠져있다. 

 

 

1- 뻔뻔한 영웅 숭배

2-위대한 사상가 10

3-위대한 시인 10

4-교육을 위한 최고의 책 100

5-인류 진보의 최고봉 10

6-세계사의 결정적인 연도 12

 

 

생각이란 무엇인가? 생각을 쉽게 설명할 수 없는 것은, 생각을 정의하는 수단이 될 수 있는 모든 것이 생각 속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생각은 우리가 가장 직접적으로 알고 있는 현상이며, 우리 존재의 마지막 수수께끼다. 다른 모든 것이 생각이라는 형태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인류가 이룬 모든 업적의 원천과 목표도 생각 속에 있다. 생각의 등장은 진화하는 드라마에서 위대한 전화점이었다.

-p23

 

우리들 들쑤셔서 생각하게 만드는 것은 확실히 욕망, 도무지 충족할 줄 모르고 잠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는 우리의 욕구이다. 하지만 아무리 의욕이 넘치더라도, 길을 찾아내는 것은 결국 생각이다.

-p26

 

 

'생각'을 하기 위해 태어난, '인간'이라는 것이 존재하는 이유가 아닐까?

길을 찾아내는 것이 결국 생각이라면 길은 인간의 이성?

생각을 발전시켜 사상으로 정립하는 것은 타고난 사람만이 가능한 것일까?

우리 역사에서 중심이 되는 사상가들을 고르는 기준은 무엇일까?

주관적인 생각이 유연한 이성의 모험으로 논리적인 사상으로 변할때

사상가들은 어떤 느낌일까?  자신의 사상에 만족할까?

'사상가'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그들의 개인적인 삶마저도 궁금해진다.

 

 

사물을 이렇게 탐구하면 지식이 완전해진다. 지식이 완전하면 생각이 진실해진다.

생각이 진실하면 영혼이 완벽해진다. 영혼이 완벽하면 자신을 갈고닦을 수 있다.

자신을 갈고닦으면 집안을 다스릴 수 있으며, 집안을 다스리면 나라가 안정된다.

나라가 안정되면 천하가 태평해진다.

 

어떤 제자가 악에도 선으로 응해야 하느냐고 묻자, 공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그렇다면 선에는 무엇으로 보답할 것인가? 선에는 선으로보답하고, 악에는 정의로 대응하라"

-p30-31  공자

 

루이 16세는 캄플 감옥에서 볼테르와 루소의 저작을 보고, "이 두 사람이 프랑스를 파괴했다."라고 말했다. 전체 정치를 겨냥한 말이었다. 어쩌면 이 가엾은 왕이 철학에 지나친 명예를 안겨준 것인지도 모르겠다. 볼테르에게 집중된 지식인 반란의 근저에는 확실히 경제적인 원인이 있었기 때문이다.

-p53  볼테르

 

이제 세상을 분석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먼저 물질로부터 사유를 시작한다면 물질에서 정신의 모든 수수께끼를 추론해 내는 수밖에 없을 것이다. 반면 정신을 먼저 다룬다면 물질을 단순히 감각 한 다발로 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감각 기관을 통하지 않고는 물질을 알 길이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물질이란 우리의 관념에 지나지 않는 것인가? 우리가 알고 있는 물질이란 정신의 한 형태에 불과하다.

-p55  임마누엘 칸트

 

 

동양에서 익숙한 공자에게 윌 듀런트는 깊은 감화를 받은 듯했다. 우리가 서양철학에서 받은 것처럼 말이다. 공자,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토마스 아퀴나스, 코페르니쿠스, 프랜시스 베이컨, 아이작 뉴턴, 볼테르, 임마누엘 칸트, 찰스 다윈. 그가 고른 열 명의 사상과 삶도 자세히 알고 싶었는데, 한 명마다 정해진 짧은 분량은 아무래도 아쉬웠다.

그나마 내 마음을 흔들었던 것은 그 다음장의 위대한 시인 10이었다.

 

 

 

 

그 무엇도 머무르지 안고 모든 것이 흐른다.

조각이 조각에 달라붙고, 사물이 그렇게 자라난다.

그러다 우리가 마침내 그것을 알아보고 이름을 붙인다.

       그것들은

점차 녹아서 더 이상 우리가 아는 사물이 아니게 된다.

느리게 또는 빠르게 떨어지는 원자들이 공처럼 뭉친

태양들이 보인다, 태양계들이 자신의 몸을

들어 올리는 것이 보인다. 그러나 태양계들과 태양들조차

영원한 흐름으로 서서히 되돌아갈 것이다.

그대도 마찬가지다, 지구여. 그대의 제국들, 육지와 바다,

모든 은하들 중 가장 작은 곳,

이른 흐름에서 둥글게 뭉쳐져, 이렇게 그대 또한

사라져 갈 것이다, 그대는 시시각각 이렇게 사라져 가고

      있다.

그 무엇도 머무르지 않는다. 섬세한 안개에 싸인 그대의

      바다도

날아가 버리고, 달빛이 비치는 모래사장은 자신의 자리를

      버리고,

그 자리에 다른 바다들이 들어와

하얀 낫으로 또 다른 만(灣)을 베어 낼 것이다.

-p83-84  루크레티우스

 

 

어둠 속에 나는 듣는다. 너무나 자주 나는

편안한 죽음을 반쯤은 사랑했거니,

많은 노래로써 죽음을 다정스러이 부르며

내 고요한 숨결을 바람에 흩으라 빌었거니.

지금은 어느 때보다도 죽음에 풍요한 듯,

아무런 고통 없이 한밤중에 끈타 버림에는.

그러한 황홀 속에 네가 너의

영혼을 쏟는 그동안.

그때도 너는 노래하고 내 귀는 들어도 못 듣고-

너의 드높은 진혼곡 속에 나는 한 줌의 흙이 되리.

-p103-104  존 키츠

 

 

운명앞에 선 사람들에게 용기를 주려고 하든, 자신의 짧은 운명을 겸허히 받아들이는 작가의 진지함이든, 이 모든 것을 차치하고 '슬픔'은 간과할 수 없었다.

호메로스, 다윗, 에우리피데스, 루크레티우스, 이백, 단테, 윌리엄 셰익스피어, 존 키츠, 퍼시 비시 켈리, 월트 휘트먼.

시인은 주변의 '삶' 속에서 소재를 찾아, 글로 노래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달았다. 

 

그외에도 읽는데 필요한 시간은 권당 열 시간씩 걸린다고 가정했을 때, 주당 일곱 시간씩 4년이 걸려야 읽을 수 있는 교육을 위한 최고의 책 100, 정신과 목적의식이 혼돈을 지배하는 것, 형식과 의지가 물질을 지배하는 것인 인류 진보의 최고봉 10, 인류의 연대기에 대해 충분한 지식을 통해 철학과 이해에 이르는 역사적 시야를 얻을  수 있는 세계사의 결정적인 연도 12 도 읽을만했다.

 

작가 윌 듀런트는 모든 목록이 부분적이고 지역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과 각자 인류의 발전을 명확히 보여 줄 자기만의 목록을 만들어도 좋다고 말한다.

위대한 사상가들의 깊은 생각을 탐구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었지만 다양한 인물과 생각을 만날 수 있어서 즐거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