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이런 관용어가 생겼대요 - 읽다 보면 문해력이 저절로 그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
우리누리 지음, 송진욱 그림 / 길벗스쿨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 4학년 둥이는 글밥이 긴 책은 싫어하는데 만화도서는 그래도 잘 읽더라고요. `그래서 이런 관용어가 생겼대요' 는 학습도서이지만 만화가 곁들어 있어 잘 읽을 거 같아 신청하였습니다. 책이 도착하자 관용어가 뭐냐고 물어보는 둥이. 관용어란 익숙할 관, 쓸 용, 말씀 어 로 말 그대로 긴 세월 동안 익숙하게 사용해 온 말입니다. 대개 둘 이상의 낱말이 합쳐져 본래 뜻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의미로 굳어진 말이죠. 독해 문제집을 풀다가 간혹 뜻을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있거든요. 글자 그대로 파악할 때가 있습니다. 왜 그런지 물어보면 막상 마땅히 대답하기가 쉽지 않네요. 그냥 예전부터 그렇게 말하니깐. 정도^^

 

본 책은 관용어가 처음에 어떻게 생겨났으며 그 배경을 쉽게 설명해 굳이 이해하려, 외우려 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는데요, 어른인 제가 읽어봐도 흥미 있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더라고요.

1장부터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얼굴, 신체, 음식, 물건, 자연에 빗댄 관용어를 알아봅니다. 일생생활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어 친숙한 느낌이 들었네요.

1장에서는 얼굴에 빗댄 관용어를 알아보는데요, 친숙한 만화로 시작해 부담 없이 접근하네요, 자연스럽게 '골머리를 썩인다'는 표현을 배워둡니다. 하단에 비슷한 관용어도 알아두면 더 유익하겠네요, 그리고 옆장에 관용어가 생긴 유래도 읽어두면 기억에 훨씬 오래 남겠습니다.

둥이가 직접 물어본 적 있는 음식에 빗댄 관용어 '국수를 먹다'입니다. ^^ 보통 결혼식에 초대받거나 결혼식을 올릴 때 쓰는 표현입니다. 하지만 처음 이 용어를 들었을 때 둥이는 국수하고 결혼식이 무슨 관계지? 까우뚱 했거든요^^ 기다란 국수 가닥만큼 오래 살라는 의미도 있고, 힘든 일이 닥쳐도 국수가 목구멍으로 술술 넘어가듯 잘 헤쳐 나가라는 의미가 -79 있다고 하네요. 사실 저도 이런 부분은 자세히 몰랐는데요, 긴 세월 동안 사용해오던 말이라 우리 문화도 공부해 보는 기회가 된 같아요.

그 밖에 감투를 쓰다, 허리띠를 졸라매다, 꽃을 피우다, 뜬구름 잡다... 등 소 제목만 읽어도 너무 궁금해지는 관용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난이도는 개인차가 있겠지만 초등 이상이시면 부담 없이 좋아할 것 같네요. 읽다보면 초등 국어 교과서와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핵심 관용어 공부로 학교 공부는 물론 문해력이 저절로 쑤~욱 향상될 거라 기대됩니다.

#책세상#맘수다#책세상맘수다카페#그래서이런관용어가생겼대요#길벗스쿨#문해력#우리누리

책세상&맘수다 카페를 통해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