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이 정말 우리 생활 속에 있다고? - 하루 동안 떠나는 생물학 여행 하루 동안 떠나는 지식 여행 5
세실리아.발레리아 지음, 파블로 피시크 그림, 윤승진 옮김, 이은희 감수 / 찰리북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학창 시절에 생물 과목 시간을 떠올려보면 배운 내용이 잘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그저 시험 보기 전날 무진장 외웠던 기억밖에 없어요. 이해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험 보기 위해서 였던거 같은데요. 지금 생각해 보면 정말 재미있고 흥미 있게 배울 수 있는 과목이 생물학인데 아쉬움이 남습니다.

 

어렵고 외계어처럼 느껴졌던 생물이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 있고 또 어렵지 않게 다가갈 수 있을 거 같아 '생물학이 정말 우리 생활 속에 있다고?'를 신청해 보았습니다.

재미있는 이야기 구성으로 되어 있어 초등학생 고학년 이상이라면 부담 없이 읽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이 책 주인공인 발레리아는 화학자이며 생물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딸은 소피아 그리고 아들은 토마스입니다. 최근에 화학뿐만 아니라 생물학에 관한 질문이 많아져 세시를 방문하러 갑니다. 세시는 생명공학을 연구하는 박사입니다.

어느 토요일 아침부터 시작해 밤에 끝나는 하루 동안 떠나는 생물학 여행 같이 가보실 까요? ^^

생물은 영원히 자랄 수 있을까? 11:30

경우에 따라 다르고요. 사람의 경우는 태어나고 1년간 가장 빠르게 성장하지만, 그 이후에는 성장 속도가 줄어들고 사춘기가 되면 다시 한번 빠르게 성장합니다. 하지만 버섯류나 식물, 파충류, 일부 어류는 몸 전체가 자라기도 하고 일부분만 자라기도 합니다.

세상에서 가장 큰 생물도 알아보는데요. 버섯 겉면이 축구장을 약 1,665개 이어 붙인 것과 맞먹고 나이는 글쎄 2,400세 가 되었다고 합니다. 읽으면서 저도 처음 듣은 이야기라 깜짝 놀랐습니다.

"육식성 식물은 어떻게 고기를 먹을까요? - 16:00

영상에서 파리지옥을 본 적이 있는데요. 달콤한 향기에 이끌린 곤충이 파리지옥의 잎에 내려앉아 감각모에 두 번 닿게 되면 잎이 자동으로 닫게 됩니다.

아이들이 온실 속 예쁜 식물들만 보다가 깜짝 놀랄 것 같은데요. ^^ 설명이 어렵지 않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요.

" 생물과 비생물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19:00

 

대강 이해는 하고 있지만 확실히 구분하기는 어려운데요. 세포와 생애 주기에 대해서 배워 봅니다. 그 기준이 틀릴 수 있는 노새와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요. 노새는 후손을 남길 수 없고, 바이러스는 생물과 비생물의 경계에 있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 다른 행성에서도 생명체가 있을까요?" -19:45

저 뿐만 아니라 많은 분들이 다른 행성의 생명체 유무에 대해 궁금할 거라 생각해요. 생명체가 살수 있는 조건을 알아보고요. 흥미로운 점은 다른 행성에 사는 생명체는 우리와 전혀 다른 것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고 하네요. 그것이 무엇일까? 궁금해지는데요. 어쨌든 외계 생명체를 찾는 작업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너무 길어질까 봐 제가 인상깊게 읽은 부분 위주로 리뷰하였는데요. 그 밖에 나무는 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 사람은 왜 늙은지, 왜 자꾸 배가 고픈지, 생명체는 어디에서 왔는지.. 등등 생활에 밀접한 의문사항을 흥미롭게 풀어낸 생물 교재입니다. 보시면 교과연계도 되어 있어 학교 수업 듣는데도 도움 될 거라 생각합니다. 이 책으로 아이들이 과학과 생물에 관심을 가져보길 기대해 봅니다.

#책세상#맘수다#책세상맘수다카페#생물학이정말우리생활속에있다고#찰리북#세실리아#발레리아

책세상&맘수다 카페를 통해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