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리시아의 여정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95
윌리엄 트레버 지음, 박찬원 옮김 / 문학동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펠리시아의 여정: 절대적 경계선 너머의 삶의 파편들

펠리시아는 사랑하는 남자(조니)의 아이를 임신했다는 사실을 알고 주소조차 남기지 않고 떠난 그를 찾기 위해 고향인 아일랜드를 떠나 영국으로 향한다. 잔디 깎기 공장에서 일한다는 조니의 말만 믿고 그를 찾아 나서지만, 애초에 그녀에게 자신의 거처를 솔직하게 밝히고 싶지 않았던 그가 남긴 유일한 단서는 정확하지 않았다. 조니를 찾는 매일의 여정은 더 큰 곤란과 역경으로 이어져 펠리시아는 힐디치라는 남자의 신세를 지게 되고, 끝내 조니를 찾지 못할 것임을 직감한 펠리시아는 힐디치의 설득으로 임신 중절 수술을 받는다. 하지만 펠리시아가 집으로 돌아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했을 때, 힐디치는 연쇄살인범으로서의 본색을 드러내고 그로부터 필사적으로 도망친 펠리시아는 노숙자가 되어 거리를 헤맨다.

 소설에서 여행은 대개 개인의 성장, 자아의 확장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나이 어린 소녀가 낯선 공간에서 각양각색의 타인들과 부대끼며 겪게 되는 일련의 사건들이 그녀를 예전과는 다른 존재로 만든다는 점에서, 펠리시아 역시 일견 여행을 통해 성장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 성장은 결코 일반적인 성장소설에서 의미하는 것과는 다르며, 이는 펠리시아의 여정이 끝나지 않고 여전히 계속되는 것과도 관련 있다.

 펠리시아는 고향인 아일랜드에서 가족과 사회로부터 거부당했다고 느낀다. 실직한 뒤 꼼짝없이 가사에만 매여 있는 펠리시아는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직업을 구하고 싶어하지만, 가정의 생계에 딸이 최대한 도움을 주길 바라는 아버지는 펠리시아가 전업이 아닌 파트타임을 하며 가사일까지도 전담해주길 바란다. 딸의 혼전임신을 알았을 때도 딸이 겪고 있는 개별적 고통과 난처함보다 자신의 가문이 겪을 불명예와 수치를 더 중요하게 생각해 딸에게 모진 말을 서슴지 않는다. 조상의 업적을 가문의 명예로 여기며 그 빛 바랜 과거의 영광에 젖어 살고 있는 펠리시아의 아버지에게 딸은 고유성을 가진 독립된 개체라기 보다 가족이라는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부품처럼 여겨진다.

 실직 상태였고, 혼전 임신으로 인해 가족에게서도 지지 받지 못했던 펠리시아에게 조니를 찾아가는 여정은 단지 아이의 생부를 찾아야 한다는 절박함을 넘어, 어디에서도 설 곳을 잃었던 자신에게 새로운 기회를 주려는 간절함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자신을 진심으로 사랑했다고 믿은 남자, 아기와 함께 새로운 가족을 꾸릴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이 있었고, 원가족에게서 받지 못했던 충분한 사랑과 지지를 기대했기에 그토록 무모한 여정을 시작할 수 있었던 것이다. 처음에는 경계심을 놓지 않았던 힐디치에게 마음을 열었던 것도 어느 누구도 그만큼 신경 써주지 않았다’(178)고 느꼈기 때문이었다. 이미 가족과 타인들로부터 상처받은 그녀에게 힐디치는 선한 사마리아인으로 다가왔다.  

 끝내 조니를 찾을 수 없을 것이라는 절망 앞에서 펠리시아는 조니와 함께 꾸리게 될 새 가정에 대한 환상에서 벗어나서 현실을 직시한다. 힐디치가 설득했다고는 하지만, 이미 새로운 희망을 놓아버린 펠리시아가 자신과 조니 사이의 연결고리인 아이를 잃기로 결심한 것은 당연한 수순으로 보인다. 하지만 펠리시아는 연쇄살인범 힐디치에게서 벗어난 뒤, 왜 집으로 돌아가는 대신 노숙자로 거리를 전전하며 삶을 이어가고 있을까?

그 모든 시련과 고초를 겪으며 한 순간에 대단한 깨달음을 얻는다든지, 진정한 자아를 찾는다든지 하는 거창한 성장은 이 작품에서 찾아볼 수 없다. 대신 펠리시아는 자신을 둘러싼 상황과 인간을 보다 다각적으로 볼 수 있는 시각을 갖게 되었다. 자신을 사랑한다고 철저히 믿었던 남자의 배신, 어머니의 죽음 이후 매정하게만 느껴졌던 아버지에게서 비쳤던 쓸쓸한 눈빛, 홀로 아들을 키워내며 자신만의 왜곡된 방식으로 아들을 사랑했던 조니의 어머니, 무엇보다 연쇄살인범 힐디치의 지독한 양면성. 유년 시절 어머니로부터 성적 학대를 당하고 정서적으로 불안정했던 힐디치의 과거를 전혀 알지 못했던 펠리시아가 힐디치조차 한때는 순수한 영혼의 소유자였을 것(319)이라고 생각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삶이 갖고 있는 부조리하면서도 다층적인 그 면면을 조금 더 이해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악의를 갖고 접근했지만, 그녀를 먹이고 재우고 안심시켰던 매순간은 그녀에게 분명 따뜻한 호의로 다가왔고, 결과론적 관점에서 그 모든 과정을 무조건 악하다고 평할 수만은 없음을 그녀는 분명히 알고 있었다.

이분법적인 시선으로는 도저히 가늠할 수 없는 삶의 다양한 양태와 질감, 그 무게 앞에서, 펠리시아는 절대적 선과 악 사이에 명백한 경계선을 긋는 대신 쉴 새 없이 그 둘을 오가고 관통하는 비균질적인 유동적 속성을 간파하며 들여다본다. 절대적으로 좋거나 나쁘기만 한 삶이란 애초에 불가능한 것임을 알기에 펠리시아는 규격화된 행복을 꿈꾸는 대신 일단은 그저 살아나가게 될 것이다. 더 많은 것을 보고, 듣고, 관계 맺고 겪어 나가면서 끊임없이 고민하고 의심하고 때론 감탄하면서 매일을 살아갈 것이다. 모든 것을 통달한 뒤 오는 허무함이나 삶을 반드시 완벽히 이해하겠다는 섣부른 열망 대신, 도처에 존재하는 저마다의 삶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자신의 길을 걸어갈 것이다. 그 여정이 언제 끝날는지 어떤 방식으로 마무리될지는 아무도 알지 못하겠지만, 햇빛이 얼굴 양쪽에 내리쬐어 따뜻해지도록 고개를 살짝 움직였던(321) 딱 그 정도의 확신과 온기로 펠리시아의 여정은 계속될 것이다. 그녀를 응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