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두 살 경제 놀이터 1 : 돈의 원리 - 동전 한 개부터 시작하는 열두 살 경제 놀이터 1
이효석.이하윤 지음 / 페이지2(page2)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두 살 경제놀이터는 아빠가 12살 딸아이에게

돈과 경제에 대해서, 일상대화를 하듯이

자연스럽게 설명을 해주는 방식이예요

책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했기때문에

딸의 눈높이에 맞는 아주 기초적인 부분까지

친절하게 설명해주고 있어요

초등학생이 경제를 처음 접하게 되는 계기는

용돈을 받게 되면서 입니다

아주 옛날에는 필요한 물건을 서로교환하는

거래를 했지만, 가치를 매길수 없기때문에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돈을 기준으로 값이 비싼 것은 값어치가 높고, 귀하며

값이 싼 것은 상재적으로 값어치가 낮고 , 흔한 물건일 가망성이 높았습니다

또한 상호 물물교환 시 물건을 일일이 들고다니고

흥정하는 것은 여간 번거로운일이 아닐수 없는데요

돈은 물건을 손쉽게 바꿀 수도 있고 , 저장과 보관이 쉬워

점점 사람들에게 통용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돈은 시대를 거쳐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변화하였습니다

은, 소금, 동전, 지폐, 현재는 코인과 같은

가상 화폐도 시도되고 있습니다

휴대성과 편리성은 점점 발전하여

이제는 돈이나 카드를 들고 다니지 않아도

폰에 내장된 카드로 결제가 되는 시대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돈의 가치는 어떻게 매겨질까요?

유용성과 희소성이 중요한 관건입니다

수요보다 공급이 적을때 그 가치는 점점 높아지게 됩니다




경제 이야기를 할때 빠지지 않는 철학자 애덤스미스에 따르면

소비자는 물건을 싸게 사고 싶은 마음,

공급자는 비싸게 팔고 싶은 마음이 있고

서로의 욕구에 따라 자연스럽게 가격이 매겨진다고 하였습니다

결국 , 가격은 그 물건이나 서비스의 가치를 따라 간다는 뜻입니다

나이가 들어 어른이 되면

가장 큰 과제는 자신의 보금자리를 갖는 것이고

큰 금액은 한 번에 결제하기 어려운 대부분의 사람은

은행에 일정한 금액을 지불하고

장기간에 걸쳐 돈을 빌리게 됩니다

이때 지불한 금액을 이자라 부릅니다

이 이자라는 것은 경제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합니다

또한 은행에 빌리지 않더라도

그 보다 더 작은 금융기관인

카드사를 이용하게 되는데 큰 금액을

일정기간 나누어 지불할경우에도 우리는

수수료를 지불하게 됩니다

즉 다른 기관에서 돈을 빌리게 될 경우에는

그에 따른 수수료 즉 이자를 내게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합니다

세상에 공짜는 없으니까요

만약 시장의 원리에 따라 수요 , 공급만 취중하다보면

독점현상이 일어나기도 하는데

그럴경우 다수의 국민들이 피해를 볼 수 있습니다

이를 견제하기 위해 정부는 기업의 독점을 감시하고

제재하여 경제를 조율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우리는 돈을 벌고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돈의 흐름과 유동성에 대해서 수시로 체크해야함을

다시한번 깨닫게 되었습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 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