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축하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철학이란 무엇입니까 - 표정훈, 스승 강영안에게 다시 묻다, 20년 만의 특강
강영안.표정훈 지음 / 효형출판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철학을 너무나 쉽게 풀어주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학이란 무엇입니까 - 표정훈, 스승 강영안에게 다시 묻다, 20년 만의 특강
강영안.표정훈 지음 / 효형출판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요즘 강영안 교수의 책들을 읽고 있다. 
그는 철학을 공부함에 있어서 반드시 원전을 읽어야 한다는 독특한 원칙이 있다. 
칸트는 독일어로, 플라톤은 헬라어로, 레비나스는 불어로, 도이어베르트는 네덜란드어로
원전이 가지고 있는 뜻이 번역을 통하여 오역되고 왜곡 전달될 수 있기에 그는 이러한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그는 철학의 대가답게 자신이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바로 아주 쉽게 풀어내고 있다. 

그의 제자 표정훈과 묻고 답하는 형식으로 서양 철학을 일목 요연하게 설명해 나가고 있다. 
신학을 공부하고 철학자가 된 독특한 이력 덕분에 그의 철학적, 인문학적 지식의 세계는 내게 참으로 큰 도움이 된다. 
고대 그리스철학에서 시작하여, 중세 기독교 철한과 근대, 현대 철학에 이르기까지 그의 설명은 막힘이 없다. 
비록 현대 철학에 이르러서는 그의 논설을 따라가기 좀 버거웠지만 그래도 난 강영안 교수처럼 쉽게 철학을 풀어내는 사람을 본적이 없다. 

기독교인으로서 철학자로 때로는 설교자로 그의 모습은 수많은 후학들에게 모범이 되고 있다. 
이제 본격적으로 강영안의 철학세계에 깊이 빠져보고 싶은 생각뿐이다. 
철학에 대하여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기꺼이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서속의 생태학 - 성서에서 찾아낸 지속가능성의 원형
A.P. & A.H. 휘터만 지음, 홍성광 옮김 / 황소걸음 / 200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66년 린 화이트는 기독교를 환경 파괴의 주범으로 보았다. 
그러나 휘터만은 도리어 성서의 가르침 속에 시대를 앞서가는 환경 보호의 정신이 가득 담겨 있음을 역설하고 있다. 
그는 구약 성서의 여러 계명 중 정결예식, 안식년, 희년법 등이 얼마나 생태학적으로 자연과 환경을 보호하려는 뜻이 가득 담겨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비록 저자는 성서학자가 아니지만 생물학자나 화학자로서 구약 성경을 환경 입장에서, 생태학적 입장에서 살펴보고 있다. 
이집트처럼 비옥한 땅이 아닌 척박한 땅에서 별다른 위생시설 없이 살아야 하는 고대 이스라엘 사람들이 어떻게 자연과 더불어 살아갔는지를 아주 명쾌하게 보여주고 있다. 

늘 성경을 신학적인 입장에서만 보아오던 나로서는 이러한 시각은 신선하기 이를데 없다. 
역시 성경은 각자 자신의 전공분야에 비추어 살펴보면 독특한 깨달음을 주는 것 같다. 
린 화이트의 이론 때문에 늘 빚진자의 심정으로 자연 환경을 바라보던 나에게 이 책은 기독교인으로서 자부심과 자긍심을 가지도록 만드는데 일조한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문화명령을 주신 것은 결코 자연을 정복하고 파괴하라는 것이 아니라 자연을 잘 통제하고 자연과 더불아 잘 살아보도록 하는 것이었다. 

노아의 방주에 모든 동물들을 다 구원하였던 것처럼 오늘날 기독교인들이 자연이 말할수 없는 탄식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구원자로서의 역활을 감당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을 얻는 기술 2
레일 라운즈 지음, 이민주 옮김 / 토네이도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레일 라운즈는 커뮤니케이션 전문가이다. 
나는 그녀가 쓴 전편 ‘사람을 얻는 기술’을 읽고서 그녀의 팬이 되어 버렸다. 
그녀가 쓴 몇몇 권의 책들을 더 읽으면서 느낀 것은 확실히 전편보다 더 뛰어난 후편은 없다는 사실이다. 

커뮤니케이션의 전문가 답게 그녀는 삶의 깨알같은 지혜들을 모아놓았다. 
어떻게 하면 사람들과 좋은 인간관계를 가질 것인가?
아주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그녀의 팁들은 우리에게 매우 유익한 충고들이다. 

만일 그녀의 충고를 그대로 따르기만 한다면 우리도 커뮤니케이션 전문가가 될 것이다. 
그런데 사실 우리는 남의 충고를 잘 귀담아 듣지 않고 있다. 
이 책에 나오는 61가지 충고 중 한두가지라도 지킨다면 아마도 인간관계가 조금은 달라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