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무기력을 되풀이하는가 - 에리히 프롬 진짜 삶을 말하다
에리히 프롬 지음, 라이너 풍크 엮음, 장혜경 옮김 / 나무생각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고 아담한 책이라고 생각했는데 내용은 만만하지 않다.

20세기를 살았던 에리히 프롬이 자신의 생각을 정리한 내용이 그의 사후 40년이 지난 오늘의 현실과 너무나도 딱 들어맞아 혹시 이 책을 엮은 그의 조교 라이너 풍크가 현실을 감안하여 일부 내용을 가감한 것은 아닌가 하는 착각이 들 정도이다.

장자나 맹자와 같은 철학책도 아닌데 각 chapter마다 무릎을 탁 치게 만드는 글귀들이 많아 여러 번 읽게 된다. Chapter의 제목도 예사롭지 않다. 각 장의 내용을 요약한 것일 뿐 아니라 제목만 연결해서 읽어도 하나의 훌륭한 어록이 된다.

저자는 19세기의 인간이 노예가 될 위험이 있었다면 오늘날에는 로봇이나 자동인형이 될 위험이 있다고 말하면서 열심히 산업을 발달시켜 시간을 절약해 놓고는 막상 그 절약한 시간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 몰라 당혹스러워 하다가 기껏해야 시간을 죽이려고 노력할 뿐이라고 꼬집는다. , 오늘날 기술적 소통의 가능성은 지나치리만큼 과도하게 증가한 반면 인간과 인간의 실제적 소통은 날로 힘들어졌다고 말한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발달과 소셜미디어의 확산으로 소통할 수 있는 길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해지고 가까워졌지만 뉴스에서 들려오는 소식들은 상상을 초월한 사건, 사고들이 넘쳐나는 오늘날의 현실을 보면 저자의 예리한 통찰에 감탄이 절로 나온다.

이 글을 읽으면서 가장 공감하면서도 두려웠던 것은 오늘날 현대인들의 행동과 생각들이 사실은 진짜가 아니라 그들이 속한 사회와 타인이 만들어낸 가짜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늘 옳다고 믿고 있는 생각이나 느낌, 욕망과 소망들이 어쩌면 내것이 아닌 사회나 타인들로부터 지속적으로 주입된 결과일 수 있는데도 우리는 그것이 자신의 생각이라 굳게 믿고 살아가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봐도 우리는 자신이 좋아하는 일보다는 가족이나 친구, 주변 사람들이 좋다고 하는 일을 더 많이 하면서 살아간다. 나의 기대가 아니라 타인이 나에게 바라는 기대에 부응하는 것이다. 그 이유를 저자는 현대인들이 고립이 두렵고 우리삶과 자유과 안락이 위험에 처했다고 느끼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결국은 인간이 타인과 똑같지 않으면 그 무리에서 도태되고 벗어나게 될까봐 두려움을 느낀 나머지 타인에게 착취 당하지않는 그 만큼 자기 자신을 착취하는 상태로까지 진행되었다.

자신의 인격을 시장에 내다 팔아야 성공하고 성공해야 안전하다고 믿는 현대인들이 해야되는 일 줄의 하나는 자발적 활동이다. 모든 자발적 활동에서 개인은 세계를 자기안으로 받아들이고 그 과정에서 개인의 자아는 온전해지고 더 강해진다고 저자는 말한다. 자아는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만큼 강하다고 말이다.

작지만 느끼는 것이 많은 책이다. 최소 두번 이상은 읽어야 할 책 목록에 포함시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