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 : 전쟁사를 여행하고 싶은 어린 여행자들을 위한 입문서

과장을 조금 보탠다면 역사에서 전쟁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 이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만큼 전쟁은 인류의 역사와 발전에 함께한 사건이었으며 덕분에 수많은 역사가들과 대중들을 매료시키기에 충분한 소재이다.

아마도 이러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서 수많은 밀덕들, 그리고 역덕들은 자료를 수집하거나, 혹은 직접 당시의 무구와 장비를 차려입거나, 그도 아니라면 수많은 게임을 통해 전쟁사라의 한 부분을 체험해보고자하는 시도를 해왔다.

하지만 앞서 전위대님이 지적한 것처럼 국내에서는 애석하게도 전쟁사에 대한 저작은 그렇게 많지 않다. 아마도 이는 민감한 문제와도 연관이 되는데, 한국 현대사에 있어서 군사정권의 등장은 필연적으로 전쟁사의 연구에 있어서 어떠한 방식으로든 악영향을 주었을 수 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해외에 비하여 다루는 것이 조심스럽고, 또 한정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쟁으로 보는 서양사'는 수많은 어린 입문자들을 위한, 매우 훌륭한 입문서라고 할 수 있겠다. 혹은 뒤늦게 이 분야에 많은 궁금증과 지적 호기심을 해결하고 싶은 입문자들에게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다만 늘상 그러하듯 비평해야 할 부분은 존재한다. 스스로를 헤비밀덕 혹은 헤비역덕이라 자부하는 사람이라면 무언가 싱거운 느낌을 받을 수도 있다. 책은 제목 그대로 전쟁으로 보는 서양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하지만 책에서 다루고 있는 챕터들은 무언가 한정적이다. 작가가 본인이 가장 자신있는, 혹은 가장 좋아하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다뤄서인지는 모르겠으나 책의 제목을 모두 아우르기에 배당된 챕터들은 사례가 부족하다. 또 한 지점에 집중되어 있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특히 십자군 부분은 시오노 나나미의 십자군 이야기와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와 일관 겹치는 부분이 많아 거슬리는 부분이 있기도 하다. 오히려 면과 면의 전쟁, 선과 선의 전쟁, 점과 점의 전쟁이라는 지점에서 전체적으로 유럽의 전쟁이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했는지에 집중했다면, 혹은 권수를 나눠서 시대별 서양의 전쟁을 다뤘다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마지막으로, 가벼운 인터넷 밈 혹은 드립 위주의 대사들은 보는 이를 즐겁게 하면서도 한 켠으로는 우려를 가져온다.. 역사 컨텐츠를 다룰 때, 고증보다는 그 안에 담긴 이야기가 더 중요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대해 필자는 2년 전에 이러한 글을 쓴 적이 있었다.

역사컨텐츠를 위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가는 것은 기본적으로 과거의 이야기, 그 중에서도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는 것이다. 컨텐츠 안에 담긴 그 이야기를, 작가가 의도적으로 취사선택하여 역사적 사실 대신 재미를 우선시한다면 매우 곤란하다.

대중이 잘 모른다고해서, 자극적인 이야기를 선호한다고 하여 컨텐츠 안의 사실을 강조하는 대신 재미를 추구한다면 결국에는 역사적 사실과 거리가 먼 왜곡으로 점철된 폴란드볼과 같은 밈에 불과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 있어서 책 속의 밈이나 드립들은 조금 우려가 된다. 이 책은 그야말로 입문자들을 위한 입문서다. 입문자들에게 무분별한, 특히 어린 입문자들이 무분별한 밈과 드립에 노출되는 것은 딱히 달가운 일은 아니다.

잔뜩 날 선 비평들을 남겼지만, 그럼에도 입문서로서 전쟁사를 다루는 책이 나온 것은 일견 환영할만한 일이다. 최근들어서 전쟁사, 군사사를 여러가지 컨텐츠에 접목시키는 시도들은 자주 나타나고 있다. 최근 전쟁기념관에서 열렸던 한국 군사사학회의 발족도 이러한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다.

필자 역시 구한말을 다루는 군사사 책을 쓰고 곧 출판을 앞둔 입장에서, 이러한 책들이 대중에게 유통되는 것은 너무나도 반갑다. 앞으로 수많은 입문자들이, 또 어린 '밀덕'. '역덕' 꿈나무들이 이 책을 접하고, 더욱 발전하기를 바란다.

대중과 학계를 이어주는 것은 결국은 컨텐츠이며, 이처럼 어리고 젊은 덕후들이 자극을 받고 등장해야만이 끊임없는 발전을 하는 것이니까. 어쩌면 한국 군사사나 전쟁사 분야에서 한 획을 그은 것인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부산의 탄생 - 대한민국의 최전선에서 거센 물살을 마중한 도시
유승훈 지음 / 생각의힘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부산의 탄생, 그것은 아마도 조선인들의 고유한 도시였던 동래에서 개항의 파도를 맞이하여 점차 근대의 도시로 성장하던 부산으로 넘어가는 분기점을 분명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사실 그동안 이러한 류의 서적은 시도가 많이 되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향토사 관련 도서들은 각 시/도별로 연구하는 경향이 많았고 그마저도 대중에게 읽힌다는 것에는 거리가 멀었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접근에 대한 시사점은 상당히 귀중하다고 본다.


부산, 그리고 동래는 조선 왕조에게 있어서 단순한 국경의 도시가 아니었다. 이곳은 조선이 일본과 교역을 하는 하나의 창구이자 그들의 진입을 경계하며 남부의 안정을 꾀하는 곳이기도 했다. 항시 동래는 방파제이자 선린의 공간이었던 것이다.


1877년, 고종이 동래부사로 임명되는 윤치화에게 “동래(東萊)와 의주(義州)는 모두 변방의 방어에 있어 요충지이다. 의주가 비록 대국과의 경계 지역이라 하더라도 동래를 이 의주에 비교하면 더욱 각별한 곳이다. 왜인들은 출입이 일정치 않고 교활함과 속임수만을 숭상하니, 잘 막아 금해야 한다.” 라며 각별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같은 국경의 최일선이라하더라도 의주보다 동래가 더욱 중요하다는 것이었다.


조선에게 동래는 그런 도시였다. 이곳에는 조선 전기부터 정책적으로 항상 수많은 관리들과 요새들은 물론, 적지 않은 군대가 배치되어 있었고 물리적으로 일본의 진출을 저지하는 도시였다. 조선 전기에는 48,000명의 수군과 대규모의 함대가 주둔하는 곳 중의 하나였고 후기에도 이러한 기조는 이어졌다.


그러나 개항의 파도에서 이러한 물리적인 방파제는 자본과 신문물의 개항지라는 것에 밀려 점차 잠식되었다. 그렇게 부산이 탄생하기 시작했다. 일본인들의 대대적인 자본 진출과 도항, 그리조선의 개항정책은 기존의 동래가 부산에 잠식되도록 만들어가고 있었다. 


물론 일본인들의 본격적인 부산 이외의 지역 진출은 경술국치 이후에나 이루어진 것을 보면 조선의 저항도 만만찮았다는 것을 반증하나 여기서는 부산의 '탄생' 을 이야기하므로 줄이겠다.


아무쪼록 근대 부산은 그렇게 탄생했다. 일본인들의 중심으로 세워진 도시에서 우리는 45년 해방을 맞이하였고, 이 도시는 한국전쟁의 와중에서 한국군과 한국정부의 중심이자 UN군이 구원을 위해 제일 먼저 발을 밟는 곳이 되었고, 가족을 잃은 자들이 사랑하는 이들을 찾기위해 헤메이는 공간이 되었다.


지금에서야 부산은 대한민국의 수출항구이자 관광지로서 이름이 드높았지만, 우리의 이전세대들에게 부산은 국경의 도시이자 해방의 공간이며 동시에 비극적인 공간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부분을 잘 조명한 부산의 탄생, 물론 아쉬운 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조금은 산만한 역순행적 구성과 작가가 '부산' 이라는 도시에 집중하여 너무 편애하는 것이 아니냐는 불평이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러한 점을 차치하더라도 향토사 입문에 매우 좋은, 그리고 부산이라는 도시가 어떻게 동래를 잠식해나가며 근대를 맞이하였는지 궁금하다면 이 책을 반드시 권하고 싶다.


그것이 그들이 살아온 길이었고, 부산이 단순한 항구도시가 아님을 알려줄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본의 군사혁명
구보타 마사시 지음, 허진녕 외 옮김 / 양서각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의 군사사 책이 넘어온 것만으로도 괜찮은 평가입니다. 조금 아쉬운 부분은 있지만 그래도 감안할 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