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해양과 대륙이 맞서다 - 임진왜란부터 태평양전쟁까지 동아시아 오백년사 메디치 WEA 총서 4
김시덕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이런 책은 누가 볼까?

당연히 아무래도 역사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 볼 것이고 또 그런 독자라면 당연히 어느 정도 역사적 지식의 기초는 갖추고 있을 터이니 기초수준을 넘어서는 심화단계로 가는 길에 흥미를 느끼지 않을 수가 없겠고 이를 반기지 않을 리도 만무하다.

<동아시아, 해양과 대륙이 맞서다>(김시덕 저, 메디치미디어)는 16세기 조선땅에서 벌어진 임진왜란과 그 이후 20세기 초의 태평양전쟁까지 동아시아 500년史를 돌아본다. 그러나 이때 주의해야할 점은 한,중,일..그러니까 우리가 으례 생각하는 조선, 중국(명/청), 일본(덕천막부/메이지유신 이후 일본제국)으로 이루어진 국제적(?) 동북아시아의 역사가 아니라는 거다.


저자가 가장 먼저 의문을 제기하는 테제는 '한반도는 지정학적 요충지인가?'하는 물음이다. 대체 언제적부터 한반도가 지정학적 요충지가 되었나? 일본이 일으킨 임진왜란 이전에도 그러했었나? 아쉽게도 임란 이전만해도 조선은 대륙과 섬나라(일본)을 같은 저울에 놓고 비교하지를 아니하였었고 마찬가지로 대륙 중원의 한족에게도 한반도는 그들이 생각하는 중원의 주변부일뿐 지정학적 요충지로 파악하지는 아니하였었다. 허나 그랬던 과거와는 달리 7년간 벌어진 임진왜란으로 인해 한반도를 대하는 지정학적 의미는 달라지게된다. 임진왜란은 말하자면 해양세력이 대륙으로 진출을 꾀한 시도였고 이에 대응하여 대륙세력은 대륙세력대로 한반도를 완충지대로 하여 해양세력을 막아냈던 사건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이로써 한반도는 지정학적 요충지로 부상한다.

두번째 테제는 소위 삼각구도라고 일컬을만한 삼국지적 관점에서 열국지적 관점으로의 전환이다. 우리의 시야는 도통 한, 중, 일 이 3국에서만 뱅뱅 돌 뿐 좀체 그 한계선을 벗어나지를 못한다. 임진왜란은 명과 조선이 연합하여 일본을 물리친 전쟁이기도하지만 그 이면을 살펴보면 후금이 명을 멸망시키고 청을 세우는 계기가 되었고 또 그로써 정성공의 대만이 수립되었다. 뿐인가 시베리아를 넘어 동진해온 러시아와 접촉하게 된 최초의 사건이 나선정벌이었으며 대항해시대 유럽과 연계된 노예무역은 안토니오 꼬레아라는 이름을 남겼다.

세번째 테제는 현재 동북아를 둘러싸고 있는 국제정세-- 미, 중, 일 이 3국의 구도에서 요즘 부상하고 있는 중국인가 아니면 20세기부터 우리나라 최대의 우방국인 미국의 영향권에 계속 포섭이 될 것인가하는 시각에서 탈피하여 우리가 앞으로 어떤 식으로 이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의 중간 요지에 위치한 반도라는 지정학적 장점을 활용하여 자립번영을 꾀할 것인지 그걸 한번 생각해보자는 거다.


이 3가지 테제를 전개해가는 과정에서 저자는 다양한 사료, 특히 아직까지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았던 여러 자료를 제시하면서 저자 나름의 해석을 가미함으로써 독자의 흥미를 북돋우고 있다. 일본의 전국시대를 끝장내는 오다 노부나가를 이탈리아의 체사레 보르지아와 비교하기도하고, 정성공의 아들 정경이 <정감록>의 정도령과 연결되는지 더듬어보기도하고, 한국의 표류민 문순득과 일본의 표류민에 대해 고찰하기도하고, 오호츠크해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또하나의 열국지, 사할린은 누구의 땅이며 북해도에 세워졌던 에조공화국, 유구왕국의 멸망, 20세기 중국을 호령했던 대청제국의 멸망과 조선의 멸망, 일본의 대륙 진출, 만주국의 성립, 대동아 공영권, 인도의 독립운동과 조선의 독립운동 등을 차례차례 다시 짚어나간다.

이 소장학자의 시각, 관점, 주장에 찬성을 하든 반대를 하든 참고를 하든 무시를 하든 유념을 하든 그 어떤 향방이건 불문, 그건 이 책을 읽는 독자 개개인의 자유겠으나 삼국지적 세계관에서 탈피한 다각적 관점을 토대로 자립번영의 전략을 추구하자는 주장과 우리는 우리의 이웃하는 주변부를 얼마나 아우를수 있는지 그 포용력을 묻는 自問만큼은 서늘함이 깊은 叱正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