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배우는 경제사 - 부의 절대 법칙을 탄생시킨 유럽의 결정적 순간 29, 2023 세종도서 교양부문
이강희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체로 '경제' 는 일반인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운 분야 중 하나다. 이해가 쉽게 잘 되지않기에 '경제사'도 막연하고 어렵게만 느껴지는데 그런 경제사를 그 시대 모습을 알려주는 그림과 함께 본다면 어떨까?

<그림으로 배우는 경제사>는 이런 아이디어에 착안한 책으로, 지금의 유럽 경제가 고대부터 근현대까지 어떻게 발전해왔는가를 그림과 함께 돌아볼 수 있다. 다만 주의할 점은 어디까지나 그 범위가 '유럽'에 국한되어있다는 것이지만 유럽이 어떤 재화를 바탕으로 부의 지도를 그려나갔는지 그리고 유럽 경제의 패러다임을 바꾸어놓고 새롭게 탄생시킨 사건과 역사 속 결정적인 명장면이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아테네가 고대 그리스에서 부자가 될 수 있엇던 까닭이나, 유럽의 역사를 바꾸어놓은 것이 청어나 대구같은 생선이었다거나, 스위스는 용병을 수출해서 돈을 벌었다거나, 지금도 독일하면 맥주가 유명하지만 옛날에도 독일이 맥주로 부의 기반을 이루었다는 등 재미있는 이야기가 상당하다. 개인적으로 흥미있었던 부분은 유럽 귀족들이 굴을 먹는 데 흠뻑 빠져있었다는 거였다. 굴이 정력에 좋고 장수 비결이라해서 로마 황제가 즐겨 먹었다는데 로마가 망하고나서도 유럽의 귀족들은 굴에 열광했던가보다. 책의 151페이지에는 당시 프랑스왕이 의뢰해서 화가가 만찬을 배경으로 그린 그림이 있는데 식탁에서 귀족들이 굴요리를 시식하는 모습과 바닥에 버려진 굴껍데기를 보니 신기하다. 그 당시 굴은 가격이 비싸서 부자나 귀족만이 먹을 수 있는 고급메뉴였다.

그리고 노예무역!

영국의 노예무역은 아프리카에서 흑인을 노예로 사서 아메리카 식민지에 파는 삼각무역 형태였는데 아프리카 기니만의 다호메이 왕국이 인근의 부족민을 잡아서 영국상인에게 팔았다고하지만 어쨌든 참으로 비인간적인 행위다. 처음에는 주로 사탕수수 농장의 일꾼으로 노예를 구했으나 나중에 산업혁명 시기가 되자 노예무역은 더욱 급증했다. 공장에서 노동자를 고용하면 임금을 줘야하지만 노예는 그냥 먹고재우는 것만 해결하면 되니까. 그래서 자본가는 노예폐지를 반대했지만 그래도 인권운동가의 노력과 여론의 형성으로 1833년에 노예제가 폐지되었다니 그나마 다행이었다.

현재 우리는 싫으나 좋으나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고있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과 경제는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부'는 사회구조와 세계경제/국내경제 시스템에 따라 방향이 바뀔 수도 있고 형태가 달라질 수도 있는 문제다. 과거 유럽과 유럽인은 어떤 식으로 경제의 패러다임을 바꾸었고 그렇게 달라진 변화속에서 어떻게 부를 일구어나갔는지가 이 책 속에 담겨있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