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본 햄릿 (패브릭 양장) - 1603년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 더스토리 초판본 시리즈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한우리 옮김 / 더스토리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셰익스피어마니아거나 고전마니아라면 언제나 기꺼이 환영할만한 책이 출간되었다. 셰익스피어 4대비극 중 하나면서 항상 첫머리에 그 이름이 언급되는 작품인 햄릿.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약한 자여, 그대 이름은 여자."라는 유명한 대사는 지금도 언중에 자주 회자되는데 지금까지 많은 번역이 있어왔지만 언제 읽어도 새로운 감동과 재미로 다가오는 것이 바로 고전문학의 힘일 것이다.

덴마크의 왕자 햄릿은 부왕의 석연찮은 급사와 그에 뒤이어 모친이 숙부와 금방 재혼한 것에 충격을 받고 있던 차에 때마침 죽은 부왕의 혼령이 나타나 자신이 비밀리에 독살당했다며 햄릿에게 복수를 명한다. 그렇지않아도 평소 저열한 성품의 숙부를 경멸하던 햄릿은 부친의 복수를 하려고하지만 이런 생각 저런 고민으로 시간만 보내고있다가 나중에는 대신 폴로니어스를 숙부(왕)으로 잘못 알고 살해하는데 이로 인해 연인인 오필리어(폴로니어스의 딸)는 상심하여 미쳐버리고, 나중에는 왕의 음모와 레어티즈(폴로니어스의 아들)의 햄릿에 대한 복수 계획이 결합하면서 결국 햄릿과 레어티즈 사이에 벌어진 검술시합에서 햄릿은 물론 왕도 왕비도 레어티즈도 모두 죽고만다는 비극적 이야기가 전체줄거리다. 

4대 비극 중에 가장 먼저 쓰여진 <햄릿>의 주인공인 햄릿은 사색적이고 감성적인 인물이지만 그 반대급부로 나약하고 우유부단한 철학가형 캐릭터가 아닌가하는 비판이 오래전부터 있어왔다. 그러나 이번에 더스토리 출판사에서 출간된 <초판본 햄릿>에서 역자는 오히려 햄릿을 주체성과 합리성을 갖춘 근대적 인물로 평가한다. 햄릿은 숙부 클로디어스가 혼자 기도를 올릴 때 그를 죽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맞이했는데도 기도 중에 죽임을 당하는 자는 천국에 갈 것이라 (이성적으로) 판단해서 복수를 다음으로 미룬다. 뿐인가, 햄릿은 단순히 부친의 복수를 하려는 것만이 아니라 뒤틀린 시대와 세상의 법과 도덕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있다. 주체적이고 합리적으로 사고하려는 햄릿은 일부러 미친 척하면서 자신의 주위를 맴돌며 감시하고 염탐하는 자들을 조롱한다. 역자의 해석에 따르면 당시 중세에서 근세로 변하는 사회에서 합리적 이성을 지닌 인간인 근대인으로서의 주인공을 내세운 희곡이 <햄릿>이다. 햄릿의 운명이 슬프고 안타깝지만 그리고 비극을 부른 그의 성격적 결함에도 불구하고 햄릿이 보여주는 합리를 따르려는 이성과 존재에 대한 고민은 이 비극의 이면에 내재해있는 근대성의 산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초판본 햄릿>은 1603년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을 사용하고있으며 에디션은 패브릭으로 된 양장이어서 표지부터 고전적이면서 클래식한 분위기를 풍기고있다.

초판본 표지디자인인만큼 이 책은 표지도 책등의 제목도 원제인 <The Tragicall Historie of Hamlet. Prince of Denmarke>라고 표기되어있다. 원제는 햄릿이 아니라 '덴마크 왕자 햄릿의 비극적 이야기'인 셈이다. 제목 아래에는 As it hath beene diuerse times acted by His Highnesse seruants in the cittie of London : as also in the two Vniuersities of Cambridge and Oxford and elsewhere. 히즈 하이니스 극단이 런던 시티에서 이 작품을 여러번 공연했고 대학도시인 케임브리지와 옥스포드 그외 다른 곳에서도 상연했다는 말인데 히즈 하이니스가 누구를 말하는지 의문이다.(체임버얼린 경에게 하이니스를 쓰지는 않았을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