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왜 이러나 싶을 땐 뇌과학 - 뇌를 이해하면 내가 이해된다
카야 노르뎅옌 지음, 조윤경 옮김 / 일센치페이퍼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뇌를 이해하면 내가 이해된다.


나도 어떨 땐 나 자신이 이해안될 때가 있는데 그 때는 뇌를 이해하면 내가 이해된다고 한다. 오..리얼리? 

'내가 왜 이러나싶을 땐 뇌과학'이라는 책에서 말하는 "뇌가 우리의 정체성이다"라는 주장이 신기했다. 사랑에 빠지기도하고 질투심에 불타오르기도하는 게 가슴으로하는 감정작용이 아니라 머리속 뇌가 하는 일이라니, 오 마이 갓. 뇌는 인간의 이성과 사고영역만 관장하는 줄 알았는데 사고도 감정도 모두 신경이 뉴런 사이에 주고받는 신호의 신체물리적 과정이라는 거다. 

이 책은 일단 뇌의 진화과정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인간의 뇌는 점점 커지고 발달해왔지만 지능은 단순히 뇌의 크기와는 상관없고 몸집대비 뇌의 크기와 대뇌피질이 차지하는 비율이 중요하다. 흥미로운 것은 이제 인류는 현재보다 더 큰 뇌를 가질 수 없다고한다. 슬프게도..두개골 안에 더이상 공간이 없다는 말이다. 주름까지 잡아가며 부피를 줄였건만 출산시 산도를 빠져나오기 힘들다. 그래서 인간은 뇌가 미완성인 채로 태어나고 성장하면서 발달한다. 그 외에 뇌가 성격에 미치는 영향, 뇌의 가소성, 집단사고(동조와 복종), 자기감 등이 재미있었는데 덕분에 인간의 성질이라고할까 집단성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되는거 같다.

그 다음은 뇌와 기억력과 학습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것.

기억이 무언가를 저장하는 일이라면 학습은 그 저장한 것을 습득하는 일이다. 기억은 학습의 기본이지만, 학습을 안 하면 기억에 남는 건 없다. 학습한 정보를 꺼내쓰려면 먼저 저장이 이루어져야하는데 학습없이 저장된 정보는 오래가지 못한다.

기억은 단순히 과거의 경험을 회상하는 행위라기보다는 과거의 경험과 새로운 경험을 혼합하는 창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해마를 쓰지않으면 뇌기능 장애질환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고한다. 그러니 내비게이션이 좋은 것만은 아니네. 헐..

다음은 뇌와 사랑 편이다.

감정이나 사랑같은 감정은 심장이 아니라 뇌에 존재한다. 감정표현에는 2가지 경로가 있는데 감정정보가 대뇌피지리을 거치지않고 바로 입력되는 경우, 대뇌피질을 거쳐서 논리적으로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결국 정신은 육체의 작용인 셈. 

우울증은 신경망의 물리적 변화때문이라는 말에 더 우울해진다. 

그리고 일을 미루는 건 일을 해낼 능력이 없어서가 아니라 일을 시작하고 이어나갈 동기가 부족해서 그렇다고한다. "오늘의 일은 내일의 뇌가 책임지겠지...호르몬이 내 인생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소제목에 한참 웃었다.

머리 쓰는 중간중간에 기분전환할 일을 끼워넣으라고하는데 한번 그렇게 해봐야겠다. 효율성을 높이기위해.

도파민은 긍정적 결과를 위해 동기를 부여시킨다. 운동은 몸도 정신도 건강해지는 지름길이며 불안이나 우울증에도 도움이 된다. 다만 저자 말대로 "규칙적"으로 무언가를 하기가 힘들 뿐.. 백배 동감.

마지막으로 인간의 지각에 대하여.

뇌는 감각정보를 사용하여 세상을 이해하지만 이 감각정보부터가 오류많고 주관적이다. 그리고 뇌가 중요하지않다고 여기는 정보는 걸러버린다. 그러므로 인간이 보는 것과 보이는 것이 실제로는 다를 수가 있다는 거다. 뇌는 입력된 정보를 우리가 믿는 현실에 최대한 가깝게하려고 필요한 정보만 가지고 세상을 이해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각은 현실이기도하고 현실보다 나은 것일 수도 있다. 이거 좀 무시무시한데..그러나 뇌가 항상 정확하게 해석하는 건 아니라해도 최선의 현실은 보장해준다는 저자의 결론이 위로가 된다.


전체적으로 평하자면 저자 카야 노르뎅옌은 실제 실험으로 검증된 사실을 핵심전달하면서 뇌에 관한 학술적 내용을 재미있게 들려주고있다. 유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