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의 만찬 - 제9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서철원 지음 / 다산책방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은 기대가 좀 컸다. 혼불문학상 수상작이기도하지만 작가가 장편소설도 이미 출간한 전적이 있고 학술상이며 다른 문학상도 받았지만 대한민국 스토리공모대전에서도 최우수상을 수상한 이력이 있기에. 최후의 만찬은 잘 알려져있다시피 이탈리아 화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그림. 예수와 열두 제자들이 마지막으로 식사를 함께하는 이 유명한 그림을 작가는 조선시대 천주교 서학사건과 결부시켜 이야기를 시작하고 있다. 당시 권력을 쥐고있던 노론 공서파는 기존 유교질서와는 대립적인 천주교를 믿는 신서파 남인들을 권력에서 철저히 제거할 목적으로 서학을 배척하고 탄압한다. 개인의 종교적 신념이 제도권의 권력 안에서 용납되지못하고 박해받는 것이다. 신주를 태우고 제사를 지내지않았다하여 윤지충과 권상연은 사형당하는데 사헌부 감찰어사 최무영이 윤지충의 집에서 압수한 그림 최후의 만찬은 정조의 관심을 끈다. 정조는 김홍도에게 그림을 조사하도록하고 한편 천주교를 믿는다하여 고문당하고 순교한 사람들의 가족은 그들대로 복수를 꿈꾸는데..이야기는 세종시대 장영실에게까지 올라가서 조선에서 사라진 그가 다빈치와 교류했을 가능성, 이후 선조대에 모반사건으로 유명한 정여립이 꿈꾸었던 세상, 장영실이 과학으로 대동세상을 꿈꾸었다면 이후 실학자들의 꿈과 진실과 이상은 또 어떤 것이었는지. 천주실의의 평등세상을 목표로 한 것이었는지. 선과 악의 가름은 또 무엇인지. 실존과 가상의 여러 등장인물이 이리저리 섞이고 역사와 허구가 얼키면서 소설은 역사를 넘어서 철학으로 달려가지만 등장인물들의 실존적 심리적 고뇌가 소설 내에서 관념적이고 사변적으로 흐르는 것을 막기는 어려운 것 같다. 말하자면 어떤 일관된 흐름이 부족하고 중구난방으로 어수선 난잡하고 어렵다는 느낌이 떨쳐지지가 않는다. 물론 개인적으로 철학을 어려워하고 관심없어하는 내가 문제기도하겠지만. 어쨌든 프리메이슨도 나오고, 특히 향기가 어떻고 하는 부분은 조금 뜬금없게 느껴지기도한다. 하지만 작가의 뛰어난 문장력만큼은 누구나 인정할 것이다. 무척 공들인 듯한 문학적 문장의 아름다움은 순수소설이 구사하는 문장의 격은 이런 것이다라고 사람들에게 널리 보여주는 것 같다. 암튼 역사와 철학과 종교를 접목시킨 듯한 소설같다고할까. 천천히 천천히 한 입 한 입 씹듯이 읽어야할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