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학강의
한국지리정보연구회 엮음 / 한울(한울아카데미) / 2000년 9월
평점 :
절판


지리학에대한 개괄적인 소개를 하고 있는 책입니다. 하지만 그리 좋은 책은 되지 않는것 같습니다. 내용이나 구성면에서 좀 약한 것 같습니다. 구성은 15개의 장으로 되어있습니다. 각 장이 다른내용을 다루고 있어 15개의 주재로 되어있습니다. 큰 분류를 한다면 약 4개정도의 주제로 볼 수 있습니다. (맞나?) 일주일에 한 장씩 본다면 한학기동안 볼수 있습니다. 액을 지은 사람의 의도입니다. (대학교 수업용으로 사용가능하도록) 각 장은 한명씩 섰습니다. 15명이 섰겠죠(?) 이책과 비슷한 종류의 책이 <지표공간의 이해>라는 책이 있습니다.구성이나 내용은 엇비슷하지만 지표공간의 이해라는 책이 더 낳은 것으로 생각됩니다. 물론 제 생각이기는 하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표공간의 이해
김주환.이혜은.권동희 외 지음 / 푸른세상 / 2001년 9월
평점 :
절판


지은이는 동국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님(김주환, 이혜은, 권동희, 안재섭)들입니다. 크게는 4부로 되어 있습니다. 1부 지리학 입문 (지리학이란? 공간구조, 공간 이해를 위한 접근방법, 지리학적 연구방법) 2부 지표공간의 자연지리적 전개 (지형환경, 기후환경, 수문환경, 토양-식생환경) 3부 지표공간의 인문지리적 전개 (인구의 공간적 형태, 취락과 도시의 지역구조, 문화의 형성과 문화지리학, 정치형태와 지역적 차이, 경제활동과 인간의 삶) 4부 지리학의 응용 (지역개발과 보존, 인간과 환경 문제, 지리교육의 역활) 이렇게 총 16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많은 내용을 한권의 작은 책으로 묶어서 내용은 상당히 빈약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전반적인 구성이나 내용의 개념, 단어 등은 그럭저럭 왠만한 것은 다 나와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제생각이기 때문에 부실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 책의 장점은 어느정도 임용고사를 준비하기전에 읽어보는 것이 좋다고생각합니다.

다른책에는 지리교육에 관한 내용이 없는 반면, 이책에는 지리교육에관한 내용이 매우 적은 분량이지만 나와 있습니다. 아직 끝까지읽지는 않아서 지리교육의 내용이 어떤지는 모르지만... 대학교 1-2학년 수준의 책내용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제소견으로는 (지리학 강의) 보다는 괜찮은 책으로 생각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